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라이브 show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4개월간 총 1만 2866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대원들이 올려준 탐사기록은 각 생물종 연구자들이 내려받아 연구 논문 자료로 쓰일 예정이에요. 하반기에도 많은 탐사 응원할게요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하나가 도착했어요. ‘비판적 기술 연합’이라는 이름으로 모인 1000여 명의 인공지능 연구자, 사회학자, 윤리학자들이 “범죄자를 찾아내는 얼굴인식 기술에 관한 연구를 출판하지 마라”고 주장하는 내용이었지요. 학자들은 왜 이런 요구를 했을까요? 얼굴인식 기술, 무고한 피해자를 만든다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1000배 빠른 로봇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동안 172시간 일하며, 6500여 번 기기를 조작하고 총 688가지의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인간 연구자의 도움 없이 수소를 만드는 능력이 기존보다 6배 효율이 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요.쿠퍼 교수는 “앞으로 로봇 과학자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화학반응을 탐색해보고 미래 청정에너지나 신약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듣는 것과 똑같이 녹음하기 위해서 하얀 커버 속에 사람 귀 모형이 들어 있지요.”소리 연구자인 장이권 교수님은 자연에서 소리를 수집할 때 사용하는 장비들을 설명하셨어요. 그러곤 “생물의 소리를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저 녹음만 해서는 안 된다”며, “기록이 중요하다”고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6월 말, KAU-SPUAV를 제작한 한국항공대학교 배재성, 박상혁 교수님을 만났어요. 이 비행기는 무려 32시간 19분 동안 땅에 한 번도 내려오지 않고 제주도 곽지해수 ... 비행에도 유리한지 궁금해요. 비행기가 남극 기지 주변을 돌며 생태계를 관측하면 극지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겠죠 ... ...
- [쇼킹사이언스] 트럭만 한 공룡이 돌을 삼킨 이유는? 보레알로펠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보레알로펠타의 화석은 몸길이 5.5m에 몸무게는 1300kg 정도였어요. 보존 상태가 좋아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지요.보레알로펠타 화석의 뱃속에서는 공룡이 죽기 전 마지막으로 먹은 식사가 축구공 크기로 굳어진 채 발견되었어요. 이 덩어리를 ‘콜로라이트’라고 불러요. 콜로라이트는 식사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류 교수는 2016년 시험관 속에 고립된 DNA와 세포에 각각 염기 편집 기술을 처음 시도해본 연구자이기도 해요. 이전에 유전자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 전체를 DNA에서 잘라낼 수 있었을 뿐, 특정한 염기를 하나만 콕 찝어 교정하기는 힘들었어요. 류 교수는 유전자 가위에서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논문으로 내지 못하면 저 혼자만 봐야 하잖아요. 반면 트위터에 움짤을 올리면 전세계 연구자와 이어져 있다는 느낌을 받아요. 또 살아있는 세포를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세포가 얼마나 역동적이고 아름다운지를 발견했다고 반응하면 더할 나위 없이 기쁘답니다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일부의 세포가 알트를 활성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결국 살아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연구자들은 이런 알트에 대한 지식을 이용해 암 정복을 위한 치료법을 찾고자 한다. 특히 알트를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이 알트를 가진 암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래핀은 전기전도도가 높고 투명하며 유연성도 뛰어나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최근 연구자들은 이런 그래핀을 여러 겹으로 쌓는 연구에 도전하고 있다. 다층 그래핀으로 소자를 만들면 반도체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도체 내 전류가 흐르는 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인 밴드갭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