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정"(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망막 뒤에 상이 맺혀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아요. 한편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면이 고르지 않아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지요. 의 정상시력을 갖게 된답니다.한편, 사시는 두 눈이 서로 다른 쪽을 보는 눈 질환이에요. 눈 근육이나 신경에 이상이 있으면 발생하는 것으로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문이다. 하지만 교수가 허락하지 않았다. 좀 더 완성도를 높여보자며 몇 번이고 논문수정을 지시했다. 교수가 논문을 ‘포로’로 잡고 자신을 싼값에 부려먹고 있다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3년을 꼬박 채우고 나서야 교수는 S박사를 놔줬다. 퇴직금은 없었다. 물리학을 전공한 K박사는 서울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조정하는 동시에, 정찰과정에서 얻은 불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 뛰어난 프로게이머들은 이런 불확실성을 이용해 상대에게 잘못된 정보를 일부러 보여줘 혼란을 주는 심리전을 펼친다. 반대로 아주 작은 정보를 가지고도 상대의 전략을 정확히 찾아내곤 한다. ... ...
- [수학뉴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한 앤드루 와일스,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아벨상’의 올해 수상자는 누구일까요? 노르웨이학술원은 17세기 수학자 페르마가 남긴 마지막 정리를 해결한 ... 이후 그는 7년간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에 매달렸고, 첫 증명에서 발견된 오류를 수정한 끝에 1995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해 냈습니다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산치를 주면 알파고가 더 많은 집 차이로 이기도록 전략을 수정할 것이다. 이런 점을 수정한 알파고의 다음 버전이 나온다면, 이세돌 9단이 불리한 상황에서 보여줬던 ‘눈부신 추격’을 다시는 못보게 될 것이다.직관의 공식화, 또 다른 직관을 낳는다알파고는 신비의 영역이라고 불리는 중앙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귀 안쪽에서 피부 세포를 조금 떼어낸다. 이 세포를 핵을 제거한 난자에 넣어 ‘복제 수정란’을 만든 뒤, 대리모가 될 개의 자궁에 넣어준다. 만약 착상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평균 63일의 임신 기간이 지난 뒤 원본견과 유전자가 100% 동일한 새끼가 태어난다.]뛰어난 명견의 복제견은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물학과 화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나온 과정을, 유명한 ‘스캠퍼(대치•결합•응용•수정•다른 용도로 사용•제거•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학생들이 이 기법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도록 독려한다.이 두 권의 책을 읽는다고 해서 모든 현대 과학의 내용을 알거나, ... ...
- [지식] 광케이블 통신망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문제를 풀기 위해 ‘선형계획법’을 떠올렸습니다. 여기에 적용하기 위해 문제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두 도시를 연결할 때 긴 쪽과 짧은 쪽 양 방향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는 조건 대신 어떤 방향으로든 전체 수요의 1/3만큼 연결하면, 2/3는 다른 방향으로 연결한다고 가정했습니다.원래 문제에서는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높이면 무중력 상태에서는 충분한 추진력을 낼 수 있다. 현재는 인공위성 등이 궤도를 수정할 때 플라스마 추력기를 사용하고 있다.● 광선검최근 개봉한 영화 ‘스타워즈 : 깨어난 포스’에 등장하는 광선검을 재현할 수 있는 기술로도 현재로선 플라스마가 가장 유력하다. 강력한 전원 장치와 길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더 많이 먹을 수 있도록 연구하는 곳이지요.국립수산과학원은 뱀장어를 인공수정해서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그리고 더 빠르고 건강하게 키우는 기술도 개발했답니다. 연구가 계속되면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더 저렴한 가격에 뱀장어를 먹을 수 있게 된다고 해요.수산과학관에 놀러와~!지금까지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