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
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하루하루 열심히 살다 보면 더 좋은 것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수정
기능만 있었던 큐키 키보드도 지금은 다양한 기능이 생겼고, 더 나아가 큐키 보이스라는 새로운 앱까지 개발하게 됐습니다.Q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군요! 어린 시절에는 어떤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제공할 계획입니다. 현재 교사들이 편리하게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
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폴리노미오그래피를 이용한 게임도 만들어 소개할 예정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폴리노미오그래피를 통해 수학과 친해지면 좋겠습니다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아직 표준모형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표준모형에 일부
수정
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와인버그가 정립한 표준모형에 따르면 중성미자의 질량은 0이어야 한다. 하지만 중성미자의 종류가 바뀌기 위해서는 질량이 0이 아니어야 한다. 표준모형에서는 힉스 장과 ... ...
[과학뉴스]멍멍! 세계 최초의 시험관 개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활발하게 만들어
수정
확률을 높인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답니다.체외
수정
을 통해
수정
체를 성공적으로 만든 연구팀은 이를 냉각시켜 안정된 상태로 만든 뒤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켰어요. 약 2달 뒤, 대리모는 7마리의 건강한 강아지를 낳았답니다. 3마리의 암컷 강아지와 4마리의 수컷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스마트폰은 화면부터 떨어질까?첫 날, 뭔가 재미있는 게 있어서 스마트폰에 시선을 두고 걸어가고 있었다. 아뿔싸! 걸어오던 사람과 부딪혀 스마트폰을 떨어뜨리고 ... 참고 논문 : 송영길과 김학수의 ... ...
유정란VS무정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유정란과 반대로 정자가 없는 달걀이에요. 암탉이 수탉과 짝짓기를 하지 않아 난자가
수정
되지 않은 상태로 달걀이 된거예요. 따라서 무정란을 아무리 품어도 병아리로 자랄 수 없기 때문에 식품으로 쓸 수밖에 없지요.한 달에 한 번 배란을 하는 사람과 달리 암탉은 거의 매일 배란을 해요. 배란은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모두 죽어버린 거예요. 하지만 그대로 포기할 수 없는 일!다시 명태를 살리기 위해 인공
수정
을 한 결과 올해 2월, 다시 명태 알을 부화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이후 7달 동안 정성스레 키워 약 3만 마리의 어린 명태를 얻어냈답니다. 명태는 차가운 물을 좋아하는 냉수성 어종이기 때문에 수온이 10℃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난자와 정자가
수정
하기 때문이에요. 여왕개미와 일개미 같은 암컷은 난자와 정자가
수정
하여 태어났기 때문에 두 벌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수개미는 정자 없이 난자가 직접 발달해 태어났기 때문에 한 벌의 염색체만 가지고 있어요. 일개미가 가지고 있는 두 벌의 염색체 중 한 벌은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낳으면 그 자리엔 수컷들이 정액을 뿌려
수정
을 시킨답니다.3 투구게 유충 = 삼엽충 유충?
수정
된 뒤 약 2~4주 후에 태어난 유충은 3mm 정도 크기예요. 삼엽충과 닮아서 ‘삼엽충 유충’이라고 부르기도 하죠.4 어른이 될 때까지 10년투구게 유충은 약 10년 동안 허물을 벗으며 자라요. 아메리카 투구게의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사람인데, 손재주가 좋아서인지 교수가 내보내기 싫어하는 듯했다. 논문을 수십 번
수정
하는 동안 속절없이 시간이 흘렀고 선배는 탈모에 시달렸다. 선배들을 보니 랩에 계속 남아있어선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랩을 졸업하고 취직이 잘 안 된다는 사실도, 그동안 랩을 다니다 그만둔 사람이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