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정"(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 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Part 6. 특이점 없애기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려웠다. “염색체 이름 하나를 정하는 데에만 두 달이 걸렸습니다. 논문을 낸 뒤에도 수정하는 데에 또 네 달이 걸렸어요. 정말 쉽지 않았지만,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고생 끝에 낙이 온다고 했던가. 권 교수의 연구는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에 좋은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놓은 알고리즘에 따라 스스로 작동되어야 해요. 그리고 그 중 하나라도 어긋나면 곧바로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그만큼 착륙에 성공하기가 무척 어렵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스키아파렐리 실종사건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Part 3. 엑소마스 2020, ... ...
- [과학뉴스] 캥거루 닮은 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뿌린 수컷이 뒷다리를 이용해 수정란을 암컷 등에 있는 주머니로 밀어 넣어요. 주머니 속 수정란은 작은 개구리까지 자란 뒤 밖으로 나온답니다.미국 사우스일리노이대 연구팀은 이 개구리의 독특한 성장 방법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영양분과 산소가 어미의 몸에서 주머니의 얇은 막을 통과해 ... ...
- Part 3. 엑소마스 2020, 성공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주 임무였던 TGO의 화성 궤도 진입과 스키아파렐리의 착륙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을 찾고 수정하기 위해서였던 거예요.‘엑소마스 2020’은 유럽우주국과 러시아연방우주국이 함께 기획한 화성 탐사 프로젝트로, 2020년 화성에 탐사선을 발사할 계획이에요. 그동안 생명체가 존재할 것이라는 증거가 ... ...
- [과학뉴스] 아빠는 1명인데 엄마가 2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두 어머니의 난자를 하나로 합쳐 새로운 난자를 만든 뒤, 여기에 아버지의 정자를 수정시켜 태어난 아이지요. 세 부모의 유전자를 모두 물려받은 이 아이의 이름은 ‘아브라힘 하산’이랍니다.아브라힘 하산이 이렇게 태어난 건 유전병을 피하기 위해서예요. 하산의 어머니는 ‘리 증후군’이라는 ...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표를 만들어요. 그리고 한 지점을 거칠 때마다, 최종 목적지까지 걸리는 거리를 계속 수정하며 가장 가중치가 적은 경로를 찾는 거예요.예를 들어 수호 집과 학교 사이에 공원, 마트, 은행, 한결이 집이 있다고 해 봐요. 그러면 이 네 군데를 거쳐가는 길을 하나씩 그려가며 학교까지 걸리는 가중치를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어떤 과학 원리가 숨어 있을까요?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은 사물에 반사된 빛이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을 자극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이 자극이 시신경을 따라 대뇌에 전달되면 우리가 본 물체가 무엇인지 알 수 있지요.그런데 신기하게도 보고 있던 사물을 치워도 우리 눈에는 아주 짧은 시간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래프를 ‘퍼트도’라고 부른다. 처음 계획대로 퍼트도를 그린 뒤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정해 효율성을 높인다.퍼트법은 1958년 등장한 수학적 사고 방법으로, 새로운 일에 들어갈 때 인력이 얼마나 필요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지 미리 예측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파일이 저장될 때는 두 개의 정보가 헥사코드의 형태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작성한 내용, 수정한 날짜 등의 핵심 정보와, 이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가리키는 링크 정보다. 핵심 정보는 섹터(512 바이트) 단위로 저장되는데, 섹터마다 저장된 위치가 다르다. 즉, 정보는 흩어져서 저장된다. 위치 정보는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