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위"(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은 대립 형질이었습니다. 개 역시 세포마다 39개의 염색체 쌍을 가지고 있고, 몇몇 부위에 털 색깔을 결정짓는 대립 유전자가 있습니다. 하나는 수컷(아빠 개)으로부터 다른 하나는 암컷(엄마 개)으로부터 온 것이죠. 완두콩에 녹색과 황색이라는 형질이 있다면, 개에게는 검은색 멜라닌 색소 ... ...
- [과학뉴스] DNA 대신 치아로 성별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신일수록 DNA가 손상돼 있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법랑질은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로 수천 년이 지나도 부식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기원전 5700년, 7~9세기, 12~16세기, 19세기에 살았던 시신 13구의 법랑질에서 아멜로게닌을 추출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기법으로 구성 성분을 분석했다. 그리고 X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당했다고 블로그에 고백해 논란이 됐다.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가 그녀의 아바타 가슴 부위를 주물렀다는 것이다. 이런 가상현실 성추행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여기에 현행법을 어떻게 적용할지, 방지하려면 어떤 사전 규정이 마련돼야 하는지 논쟁은 앞으로 더 커질 전망이다. 멀미 잡는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비슷한지, 아니면 완전히 다른지 여러 과학자들이 끊임없이 고민하거든요. 또 모든 부위의 뼈가 완벽한 상태인 화석이 발견된다면 새로운 논쟁이 벌어지거나 오랜 논쟁이 결론에 이르기도 하지요. 현재는 디플로도쿠스류 공룡에 대한 논쟁이 활발해요. 최근 완벽한 형태의 새로운 뼈화석이 많이 ... ...
- Part 1. 깃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종류와 양, 홍학의 종류에 따라 달라요. 홍학에 따라 카로티노이드가 쌓이는 부위가 다르거든요. 그래서 홍학의 깃털은 옅은 분홍색부터 진한 분홍색, 주황색까지 다양하답니다. 짝짓기 시기가 되면 깃털에 화장을 한다?!홍학의 색이 더 화려하고 짙은 붉은색을 띨 때가 있어요. 바로 짝짓기 ...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키즈너 박사의 주장을 반박했어요. 일반적으로 사냥을 한 육식공룡이 가장 먼저 먹는 부위가 바로 사냥한 동물의 내장이거든요. 이 때문에 육식공룡이 떠난 뒤에는 바리오닉스가 먹을 수 있는 내장이 남아 있지 않았을 거라고 주장했답니다. 한편 올해 런던 퀸 메리대학교 혼 박사와 미국 ... ...
- 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넣어 방사성 물질들을 벗겨 내요. 그리고 물과 모래를 배관과 벽에 강하게 뿌리거나, 오염부위를 레이저로 자르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 방사능 수치를 계속 낮춰 줘요. 그래야 방사성 폐기물의 양도 줄어들고, 사람이 들어가서 건물과 내부의 설비들을 절단하고 철거할 수 있게 되지요. ➊ 원자력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비교한 경우도 있었답니다. 따라서 분석할 수 있는 표본들을 많이 찾아서 같은 부위의 뼈를 분석하고 비교해야만 암수 차이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거예요.●상완골 : 어깨에서 팔꿈치까지 이어지는 긴 뼈. 골판이 좁으면 암컷이다?◀ 수컷(위쪽 사진)의 골판을 넓고, 암컷(아래쪽 사진)의 골판은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보여요. 등뼈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고, 피부에 붙어 있는 형태지요.골판은 어느 부위에 있느냐에 따라서 크기와 모양이 달라요. 스테고사우루스의 경우 머리 쪽의 골판은 크기가 작고, 등 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다가 엉덩이를 지나면서 다시 작아지는 형태예요. 이외에도 후얀고사우루스와 ... ...
- [과학뉴스] 사람 얼굴 알아보는 똑똑한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다양한 얼굴 사진을 보여 줬어요. 그리고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를 찍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했지요.연구팀은 영상을 분석해서 짧은꼬리원숭이가 사람의 얼굴을 기억할 때 활성화되는 205개의 뉴런을 관찰했어요. 이때 얼굴의 특징이 달라지면, 뉴런이 활성화되는 정도도 함께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