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유전자를 자르고, 난자의 MYBPC3 정상 유전자가 상동재조합을 통해 정자의 잘려진 유전자
부위
에 삽입된 것이다. 지금까지 이런 현상은 학계에 한 번도 보고된 바가 없다. 김진수 단장 역시 이 부분에 대해 “연구진도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다”며 “외부 DNA를 도입하는 것보다 교정의 정확성이 더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실제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
부위
에 전기 자극을 가해 기억을 조절하는 ‘해마 칩’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뇌에서 신경 신호를 읽어 오거나 뇌에 자극을 가하기 위해서는 두개골을 절개해서 전극을 삽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감염 위험이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처음부터 향기를 풍기는 건 아니다. 갓 잡은 사향노루나 사향고양이, 비버의 은밀한
부위
와 분비물에서는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악취가 난다. 향유고래의 결석도 여느 동물의 토사물과 마찬가지로 썩은 냄새가 진동한다. 히라세움은 수백 년 동안 썩은 짐승의 오줌이니 외형부터 향기와는 거리가 멀다 ... ...
Part 3. 넘어지면 단단해지는 기하학 구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일부분을 딱딱하게 만들어 지탱하도록 하거나, 설사 넘어지더라도 몸이 땅에 닿는
부위
를 딱딱하게 만들어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지요. 그러려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하는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야 해요. 여기에는 기하학적 아이디어가 중요합니다. 어떤 기하학적 구조로 만들어야 어떤 모양과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사람은 우측 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얇았습니다. 이
부위
는 감정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doi:10.1016/j.concog.2015.04.020). 일각에서는 귀 벌레 현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당 곡의 가사를 글로 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합니다. 주의를 돌린다는 점에서는 일리가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않았지만 플라스마 무기는 충격파를 발생시켜 쏘는 것으로 추정된다. 레이저로 국소
부위
에 높은 에너지를 조사하면 플라스마가 발생한다. 생성된 플라스마는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흡수해 고온 고압 상태다. 여기까지는 앞서 소개한 플라스마 보호막을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다. 그런데 레이저를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행동을 하는 돌연변이 초파리를 찾아내 행동을 변화시킨 돌연변이 염색체와 유전자
부위
를 밝혀내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 특정 유전자 하나의 기능이 마비된 돌연변이 초파리가 정상 초파리와는 매우 다른 행동 양상을 나타내는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벤저 교수가 결국 자신의 가설을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2013년 39권 3호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자 피부가 남자에 비해 볼
부위
의 피부 수분 함량이 약 1.2배 많다. 김 교수는 “아직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면서도 “여성호르몬이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속도를 촉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호르몬이 (피부 수분 함량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뇌의 선조체
부위
에서 습관 형성의 지휘자 역할을 하는 뉴런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레버를 누르면 설탕을 제공해, 쥐가 습관적으로 레버를 누르게 한 뒤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습관이 형성된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알려져 있다. 기자의 경우 볼에 있는 털은 만족스럽게 사라졌지만 콧수염과 턱수염
부위
는 아직도 거뭇거뭇하다. 주위에선 아직도 제모를 하고 있는지 알아채지 못하고 있다. 제모를 받는다고 말해야 ‘아, 어쩐지 볼은 깨끗해졌네’라는 반응이 돌아온다. 박 원장은 “레이저 공격에도 모낭세포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