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역할을 했다. 홍 교수는 “의료진은 CT나 MRI 이미지와 환자의 몸을 번갈아 관찰하며 치료
부위
안쪽의 상태를 머릿속으로 가늠해 수술을 진행한다”며 “AR을 접목하면 사전에 파악한 이미지와 실제 환자의 몸을 한 시야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AR은 현실의 이미지에 3차원(3D) 가상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 결과를 2004년 ‘대한영상의학회지’에 발표했다. 분석결과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는
부위
는 소뇌였다. 40대의 평균 소뇌 부피는 121.83cm³로 20대 평균인 133.73cm³에 비해 11.9cm³ 가량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부피 감소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컸다. 정 교수는 “부피로 따지면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과 음이온성으로 나뉩니다. 계면활성제에서 물에 친한 친수성
부위
가 물에서 분리됐을 때 양전하를 띠면 양이온성, 음전하를 띠면 음이온성이라고 합니다. 이기훈 서울대 농업생명 과학대 교수는 연구팀이 개발한 계면활성제에 소수성과 친수성 성분이 동시에 들어 있다는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간접적이거나 로맨틱한 성적 표현이 15%로 그 뒤를 이었다. 심 교수는 “신체의 성적
부위
나 성관계를 대사로 묘사하고, 결혼하지 않은 남녀의 성관계가 등장하는 경우도 많았다”며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콘텐츠에서 사춘기의 성을 진지하게 다루거나 성과 관련된 건강에 대한 내용은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우울해하는 증상이 나타났다. 전대상피질은 집중력을 높이고 내면의 감정을 조절하는
부위
다. 이런 경향은 초기 사춘기(12~13세)보다 후기 사춘기(15~16세)에 두드러졌다. 카시오포 교수는 “성인의 경우 특정 행동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경우 전대상피질이 활성화되는 경향이 있다”며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영역에 변화가 생긴다. 의사 결정이나 판단과 같은 고차원적인 사고를 담당하는
부위
는 10대 후반에야 변화가 시작돼 20대에도 발달이 이어진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사춘기를 10~24세로 정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유 없는 반항, 신경전달물질 때문10대는 때로 이유 없이 반항한다. 어느 정도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체에서 미세먼지를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부위
는 호흡기관인 기관지와 폐다. 황 교수는 지난해 기존 학계에 알려져 있던 것과 전혀 다른 사실을 밝혀낸 미국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혈액을 응고시키는 세포인 혈소판이 대부분 폐에서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체형을 완벽히 본뜨는 게 끝이 아니다. 휠체어를 오래 타면 꼬리뼈처럼 툭 튀어나온
부위
가 눌려 욕창이라는 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받는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모형을 수정하는 ‘오프로딩 기술’이 필요하다. 교수팀은 오프로딩 기술까지 적용한 맞춤형 의자를 휠체어 국가대표팀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가축을 갈고리에 걸어 늘어뜨린 다음 이동시켜, 수 십 명의 근로자가 자기가 맡은
부위
만 전문적으로 고기를 발라내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물론 자동차는 무겁기 때문에 갈고리에 걸 수는 없었고, 대신 포드는 큰 벨트 위에 자동차의 차대를 놓는 식으로 공정 기술을 수정했다. 그 결과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동결방지단백질들의 3차원 구조를 보면 공통적으로 얼음과 잘 결합할 수 있도록 편편한
부위
가 있고, 여기에 물 분자와 수소결합을 이루기 위한 아미노산 잔기가 다수 존재한다. 동결방지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비밀을 풀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서는 유전체 정보다. 이를 위해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