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원더랩에서 연구를 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조현규 기자의 질문에 교수님은 창의력이라고 말씀하셨어요.“즐거움은 사람들이 해 보지 못한 체험을 할 때 나오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의력은 굉장히 중요해요. 생활 속의 많은 사물들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창의력의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앨런 구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 교수가 발표한 ‘급팽창 이론’으로 해결됐다.구스 교수는 우주가 태어난 직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팽창을 겪었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균일했던 초기우주가 순식간에 너무 커져버렸기 때문에 지금까지 거의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엄청난 차이다. 공동연구를 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비스바테르스란트대 에드워드 스넬링 교수는 “인류가 진화하면서 뇌가 커진 덕분에 지능이 발달했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 ...
- [과학뉴스] 햇볕으로 물 끓이려면 뽁뽁이가 필수!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강첸 교수팀은 물을 수증기로 바꾸는 간단한 장치를 새로 개발해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 온라인판 8월 2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태양열 온수기에 흔히 쓰이는 ‘선택적 흡수체’ 필름을 이용했다. 이 필름은 초내열성 재료를 구리에 코팅한 물질로, 햇빛과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처음부터 배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설계였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상영 교수는 이런 가설에 대해 “모두 가능성이 있지만, 말 그대로 가설일 뿐”이라고 확대해석을경계했지만, 삼성전자가 의혹에 대한 명쾌한 해명을 하기전까지는 이런 가설들이 끊임없이 제기될 것이다 ... ...
- INTRO. 가상현실, 어느 수학자의 보고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나는 요즘 연구가 잘 되지 않아 서재에 꽂혀 있는 책이나 한 권씩 꺼내보고 있었어. 오늘은 중국의 사상가 장자의 을 꺼내 들었는데 책을 펼치자 장자의 꿈 이야기가 나왔어. 장자는 꿈속에서 나비가 됐고, 나비처럼 즐겁게 춤추고 있었지. 그러다 잠에서 깼는데, 글쎄 장자가 아니던가. 꿈이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상현실을 구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몰입감이다. 가상현실 속 영상을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려면 사람이 볼 수 있는 시야각을 포함하며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위상적으로 ‘육면체 = 구’공간의 연결 구조를 연구하는 위상공간에서는 구멍의 개수로만 물체를 구분한다. ... ...
- INTRO. 악마를 찾아 나선 수학 천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학이 악마 같은 건 진짜 악마라서 그래.”누군가 속삭이는 소리에 잠에서 깬 수학 천사는 수학은 악마가 아니란 걸 증명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웬걸, 수학에는 분명 악마가 있었습니다. 수학 천사는 악마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악마가 산다는 비밀의 집으로 들어갔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 ...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비밀의 집 안은 어둡고 고요했어요. 오싹하게도, 입구부터 이어진 긴 복도의 맨 끝 방에서만 불빛이 새어나왔어요. 수학 천사가 방문을 열고 처음 본 것은 숨도 안 쉬고 숫자를 읊는 머리에 뿔 달린 악마였어요. 천사는 이 집을 안전하게 빠져나갈 수 있을까요? 벨페고르의 소수 “10000000000000666000000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주고 사 마시는 것보다 주사위를 던져보는 게 확률적으로 이익이었어요(하하).”박 교수는 요즘 중고등학생들이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무척 안타깝다고도 했다.“앞으로 여러 직업이 사라지는 반면 새로 생기는 직업은 훨씬 적어요. 새로운 직업을 보면 앞으로는 새로운 기술에 ... ...
이전5025035045055065075085095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