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중요성을 알렸다. 교육전문기업 퓨너스의 남이준 대표와 백은옥 한양대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학교를 찾았다. 지난해에는 안산시 과학문화축제와 경기과학축전, 한양대 축제에 부스를 마련하고 로봇SW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 다양한 SW교육 활동을 하기 위해 힘쓴 조 교사는 지난해 수상의 기쁨을 ...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질소를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교수는 “큰 물고기를 잡는 지금의 어업활동은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포착돼 100만 명의 주민이 대피한 결과 규모 7.5의 강진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김 교수는 “미소 지진을 포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미소 지진 수가 갑자기 급증하는 신호를 찾아야 하는데, 변화가 워낙 미약하기 때문이다. 그는 “이번 경주 지진 전에도 연평균 한두 번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데칸고원 화산의 70% 정도가 분출했을 때 운석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피터슨 교수팀은 데칸고원의 화산폭발로 지구 기온이 7~10°C 가량 올라갔고, 뒤이어 일어난 운석충돌로 지구의 온도가 더 올라갔다고 주장했다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그는 LMB의 차기 노벨상 후보로 꼽힌다.“당시 스타이츠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으로 LMB에 왔어요. 저는 박사과정 학생이었고요. 우린 둘 다 소화효소 중 하나인 키모트립신을 연구하고 있었지만 서로 다른 방법으로 하고 있었죠. 연구 그룹도 달랐고요. 그런데 우리 둘 다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유전자 끼리끼리’를 핵심으로 하는 유전적 근연도 이론을 확립한 윌리엄 해밀턴은 드디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런데 얼마 안 돼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자신의 이론이 다른 사람에 의해, 탐탁치 않은 이름이 붙은 채 소개되고 있었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유전적 근연도 ...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닙니다. 최근에 인간 DNA 전체를 합성하겠다고 밝혀 화제가 된 조지 처치 하버드대 의대 교수가 비스 연구소 소속이고요, 인간의 실제 세포를 이용해서 폐와 같은 인체 장기를 모방한 ‘인체 장기 칩(Organon-a chip)’을 처음 개발한 곳도 바로 이곳입니다.연구소는 2009년에 스위스의 슈퍼리치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문제가 있다. 기체 전체를 시뮬레이션한 데이터가 크다는 점이다. 박수형 건국대 교수화 함께 한 헬리콥터 가시화의 경우, 데이터가 1.4테라바이트였다. 일반 PC로는 실시간으로 그릴 수 없다. 가시화기술개발실이 개발한 ‘글로브(GLOVE)’가 이 문제를 해결했다. 글로브는 대용량 데이터를 ...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편하게 사용하면서도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게 연구 주제죠.이선민 교수님은 개발자를 위해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나요?허충길 요즘 C언어는 대부분 알고 있을 겁니다.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컴퓨터 언어 중 하나죠. C언어로 코딩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사용하는 기계어로 ...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땅이 1m나 움직였다고?구마모토가 있는 큐슈에는 북동-남서에 걸쳐 비스듬하게 ‘단층대’가 있어요. 땅이 갈라진 단층들이 모여 있는 것을 단층대라고 하지요. 특히 이 지역에는 약 285만 년 전부터 시작된 신생대 제4기에 들어서 활동을 했거나, 앞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활성단층’들이 많 ... ...
이전5015025035045055065075085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