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 탄생 후 38만 년, 그 순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38만 년 이전 초기우주의 모습은 추측일 뿐이다. 아직까지는 직접 볼 수 없는 미지의 세계였다. 이제 그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지난 2월 중력파 최초 관측 성공에 이어 지난 6월 두 번째로 성공하면서, 중력파를 이용한 ...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오늘 소개할 게임은 2014년 각종 게임상을 휩쓴 ‘모뉴먼트 밸리’예요. 주인공인 아이다 공주는 성물을 훔치는 큰 죄를 지었어요. 다행히 잘못을 깨닫고 성물을 제자리에 돌려놓기 위한 여행을 떠나면서 게임이 시작돼요.아이다 공주가 여행하는 방법은 간단해요. 원하는 곳을 터치하면 아이다 공 ...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뒤로 한 채 혜화역으로 향했어요. 마지막 기념사진을 남기는 것도 잊지 않았지요.김종락 교수는 “만약 혼자서 했다면 중도에 포기하고 말았을 것”이라며, “학생들이 협력하면서 할 수 있는 수학적인 체험 게임을 할 기회가 많아지면 수포자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방탈출 게임의 또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거 비슷한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원리까지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건수 교수는 “목성 표면에 있는 대적반이 주변 난류와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게재됐다 ... ...
- [과학뉴스] 청소년이 살찌는 이유 ‘에너지 절약’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에너지를 태우는 대신 체내에 비축한다는 것이다.연구를 이끈 영국 엑서터대 테리 윌킨 교수는 “16세가 되면 일일 소모 열량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며, 신진대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 전국아동측정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후나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실제 윤진일 경희대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생물계절관측 기상대를 대상으로 개화나 단풍의 예상 시기가 어긋나는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표준목이 지역을 대표하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산 봉우리의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국연구재단에 제기한 소송에서 일부 승소 판결을 받기도 했다.기계공학 전공 G 교수는 “후배들에게 정말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정부 돈을 받지 말고, 차라리 숨겨서 긴 호흡으로 연구해 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해주고 싶다”고 한탄했다. ‘좋은 연구 성과를 내고, 후진도 양성하겠다’는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용하면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고래에 접근할 수 있다.미국 코넬대 카를라 고메스 교수는 ‘이버드(eBird)’라는 앱을 출시해 일반 시민이 새에 대한 관찰 기록을 남기도록 했다. 지금까지 약 30만 명이 총 3억 회 이상의 관찰 기록을 남겼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다양한 새들이 각각 언제 어디에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표정을 지었다. 그렇다면 제미노이드 F는 과연 불쾌한 골짜기를 이겨냈을까. 이시구로 교수는 2013년 11월 일본 오사카의 타카시마야백화점 의류 코너에서 2주 동안 제미노이드 F가 직접 손님을 응대하도록 하고 사람들의 반응을 관찰했다. 사람이 표정을 짓고 말을 하면 원격조종으로 제미노이드 F가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했던 것처럼 기억날 때가 있다. 온몸이 기억했기 때문이다.김영보 가천의대 신경외과 교수는 “과거에는 대뇌피질의 각 부위가 다리나 혀, 눈, 팔 등을 따로따로 관장한다는 ‘국소주의’만 정설이었지만, 지금은 전혀 다른 시기에 경험한 기억끼리도 서로 연결돼 있다는 ‘연결주의’가 부각되고 ... ...
이전4984995005015025035045055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