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주스는 전문점에서 파는 생과일 주스와는 조금 다르다. 먼저 오렌지를 짜서 원액을 만든
뒤
물만 추출해 농도를 크게 높인다. 이 농축액을 다시 물에 섞어 오렌지 주스를 만든다. 이쯤 되면 생과일 주스에서 농축 당 주스로 변해버린다. 송 교수는 “영국 정부가 학교에 음료 자판기를 없애기로 한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모양을 각각 그리고 칼로 잘라요. 이렇게 자른 종이를 접거나 구부려서 입체감을 준
뒤
, 층층이 풀로 붙여서 조립하면 완성이에요. 종이 조각 사이에 층층이 다른 종이를 넣어서 공간을 약간씩 넓혀 주면 더욱 입체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답니다.황정아 작가는 앞으로도 다양한 종이 작품을 만들 ... ...
바지락 VS 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흰살 조개에는 헤모글로빈 대신 헤모시아닌이 들어 있지요.꼬막은 여름에 산란을 한
뒤
가을이 되면 춥고 매서운 겨울을 나기 위해 살을 찌워요. 따라서 10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의 꼬막이 살이 많고 쫄깃쫄깃해 맛이 가장 좋답니다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 결과, 가장 빛을 많이 내는 시기는 22시간을 주기로 돌아온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그
뒤
연구팀은 귀신버섯과 비슷한 인공 버섯을 만들었어요. 초록색 LED를 넣은 인공 버섯과 빛을 내지 않는 인공 버섯으로, 두 버섯의 표면을 끈적하게 만들어 곤충이 얼마나 접근했는지 측정할 수 있도록 했지요 ... ...
박쥐가 알려 주는 교통사고 방지 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반사된 초음파가 돌아오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박쥐와의 거리를 알아낼 수 있거든요. 그
뒤
날갯짓을 4~5번 할 동안 다른 박쥐가 날아가는 방향을 알아내고, 날아갈 방향을 다른 쪽으로 바꿀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혹시 제 외모를 보고 제가 도와 줄 거라 생각했나요? 박쥐는 외모와 달리 착한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송영석 교수는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부표에 자기유체를 담으면 파도의 힘으로
뒤
흔들어 배터리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균형을 잡기 위해 배 밑바닥에 싣는 물을 자기유체로 바꿔서 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어요. 자연의 힘으로 전기가 펑펑?똥에서 모은 가스로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포물면의 곡률이 달라져도 포물선의 축과 나란하게 들어오는 빛은 포물면에 반사된
뒤
모두 초점으로 향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포물선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돼 포물선의 축에 평행하게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이 교수는 조심스럽게 답했다. “2009년 수학아카데미만 놓고 본다면 실패겠죠. 하지만 그
뒤
로 학습 모임을 통해 중력장방정식을 풀게 된 분들도 있으니까 어느 정도 성과를 봤다고 할 수 있겠죠?”“정말 수학을 알고 나니 세상이 달라 보이던가요? 그 새로운 세상은 어떤 세상인가요?” 기자의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00m 이내예요. 야생에서 청개구리의 수명은 7~8년 정도 살 수 있고요. 알에서 태어난
뒤
번식할 수 있는 어른이 되기까지 2년이면 충분해요. 즉, 자식이 멀리 떨어지지 않고 부모가 그 다음해에도 살아 있다면 서로 만날 수 있는 확률이 있지요. 알을 낳을 수 있는 환경이 제한됐다면 부모와 자식이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토대로 몸무게를 다시 추정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남아 있던 골격을 레이저로 스캔한
뒤
, 3차원 볼록 다각형으로 뼈가 남아 있지 않은 부분을 메우는 방법으로 골격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악어와 닭의 신체 밀도를 참고해 드레드노투스의 몸무게를 추정해보니 최대 약 38톤이었습니다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