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믿음직한 소프트웨어가 만드는 안전한 세상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마치 백신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바이러스를 잡아낸 뒤 치료까지 해주는 것처럼 자동화돼 있어 편리하다.프로그램 내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는 콘콜릭(Concoli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가 처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검토하려면 비용과 시간, 노력이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의해 뒤 항성의 빛이 휘어 전달되는 효과를 이용한다. 앞 항성에 외계행성이 있다면, 뒤 항성에서 오는 빛에 불규칙성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포착한다. 다른 방법들이 항성 근처에 있는 큰 가스형 외계행성을 찾는 데 유리한 반면, 중력렌즈 방법은 항성에서 공전 주기가 1년 정도 되는 멀고 작은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가장 많이 선택한 숫자는 10%가 선택한 33이었다. 그 다음으로 5~6%가량이 선택한 22, 0, 1이 뒤를 이었다. 이 실험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 깊이는 대개 한 번 또는 두 번인 셈이다.송 : 결론은 검은색 0을 낸 다음 한 번 또는 두 번 정도 상대의 수를 읽어서 2 또는 3을 내라는 건가.손 : 꼭 그렇지만은 않다.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만들어낸 것이다.‘인터스텔라’에는 우주선 인듀런스 호가 우주정거장에 도달한 뒤 가장 먼저 회전을 시작하는 장면이 나온다. 중력이 없는 공간에서 우주선이나 우주정거장을 회전시키면 중력이 있는 것과 똑같은 효과가 생긴다. 중력이 원심력처럼 좌표계의 가속으로 생기는 가짜 힘임을 잘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무 위에서 개미와 흰개미를 즐겨 먹는데, 한 나무에서 배불리 식사를 끝낸 뒤에 날개를 펼치고 다른 나무로 이동한다. 하지만 너무 먼 거리를 활공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활공하는 플라잉드래곤 위로는 이들을 노리는 새들이 날아다니기 때문이다.호주 맬버른대의 다니옐 클롬프 박사팀은 최근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해요.원래 플라스틱의 원료인 화석연료는 동물이나 식물이 죽어 땅 속에 묻힌 뒤 아주 오랜 시간 동안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져요. 그런데 이 속도가 워낙 느려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화석연료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친환경 플라스틱을 만들면 화석연료 부족이나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후의 심리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중독 전에는 주기적인 패턴을 보이지만, 중독된 뒤에는 일정한 규칙 없이 혼란스러웠다. 특히 통제계수가 작은지(통제를 못함) 큰지(통제를 잘 함)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달랐다. 배 교수팀은 앞으로 인체와 심리를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한 디지털중독 수학 모형에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설명이다. 이어진 스냅백 만들기에서는 평면이었던 색종이에 가위질을 해 머리에 뒤집어 쓸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었다.이밖에도 김 선생님은 색종이뿐만 아니라 색도화지나, 색종이컵처럼 여러 가지 재료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만들어 볼 수 있는 작품을 선보였다. 무엇보다 종이접기에 가위질을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수도 있어.연구팀은 고흐가 그린 자화상 중 옷깃 부분을 분석해 보았어. 그림을 스캔한 뒤 가로세로가 대략 7.4cm 정도가 되게끔 잘랐지. 이 안에는 작은 사각형이 26만 2144개가 들어 있었어. 그리고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해 첫 번째 물감층과 두 번째 물감층에 들어 있는 붓칠을 분석했어. 그랬더니 각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시대가 돼서야 등장했다. 고대 그리스에서 자연철학이 등장한 지 2000년이 지난 뒤였다.중력과 달리 전자기력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져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철학의 아버지’라 부른 탈레스도 양털에 문지른 호박이 머리카락처럼 가벼운 물체를 잡아당긴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호박이 ... ...
이전4984995005015025035045055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