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스페셜
"
셈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과학을 선택하는 소위 ‘자연계열’ 학생들에게는 최상위권 대학이 하나 더 생기는
셈
이다. IMF 이후에 본격화되기 시작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의대 쏠림’이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의대는 단순한 ‘쏠림’의 대상을 넘어서 교사·직장인은 물론 초등학생까지 무차별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비유하자면 세포막과 외막이 각각 1층 침대와 2층 침대이고 둘 사이에 사다리가 놓인
셈
이다. 조수라발핀은 LPS를 운반하려고 하는 단백질 사다리에 달라붙어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 결과 LPS가 세포막에 쌓이면서 생리가 교란돼 결국 아시네토박터가 죽는다. 연구자들은 단백질 사다리의 일부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넓이는 기대득점 값에 비례한다. 모든 슛의 합계 기대득점은 4.3골로 3.7골을 더 넣은
셈
이다. 이때까지 손흥민은 빅찬스 미스가 하나도 없었다. Opta Analyst 제공 ● 해리 케인, 손흥민 덕에 도움왕 돼 한편 기대도움(expected assist)이라는 개념도 있다. 기대득점을 슈팅 직전 패스를 한 선수에게 부여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조공(朝貢)을 제공해야만 했다. 달력은 전통적인 기술 패권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던
셈
이다. 우리에게 ‘양력’으로 알려진 그레고리력은 1582년에 처음 등장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그레고리력의 가장 큰 장점이다. 1년 365일을 30일과 31일로 구성된 12달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정부의 실질적인 대응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요소 수출 시도를 그냥 두고 본
셈
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가 공식적인 것도 아니고 정치적 의도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정부의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중국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는 공식과 비공식의 구분이 쉽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올라가는 수십억 년 세월 동안 세포에 담긴 정보가 한순간도 소실되지 않은 채 진화해온
셈
이다. 저자는 “아미노산 같은 단순한 밑감과 물질대사와 복제를 하는 세포 사이에는 아득한 복잡성의 간극이 자리하고 있다”며 스탠리 밀러의 실험 이후 풍미한 여러 가설은 “생명의 기원이 화학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지질구조가 채우고 있다. 각질세포가 납작한 벽돌이라면 지질구조는 모르타르인
셈
이다. 물분자가 통과하기 어려운 지질구조는 각질세포의 수분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각질층의 수분량은 10~20%에 불과하고 피부 표면은 지질과 피지로 이뤄진 두께가 0.005㎜도 안 되는 아주 얇은 기름막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진행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방광암에서는 Y염색체가 암 진행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셈
이다. ● 심혈관계에도 악영향 Y염색체 소실은 암뿐 아니라 다른 질병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사이언스’에는 Y염색체가 소실된 백혈구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인 심장섬유화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지구상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류보다 훨씬 먼저 지구상에 등장한
셈
이다. 박쥐를 비롯한 포유류‧조류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빈대는 현재 세계적으로 75종(種)이 서식하고 있다. 빈대는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성충의 크기가 5밀리미터 정도의 노린재목에 속하는 작고 납작한 모양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나타난다. 결국 감마선 에너지가 둘 다 양의 에너지인 전자와 양전하 입자 쌍으로 바뀐
셈
이다. 디랙방정식 자체는 이론물리학자 사이에 엄청난 찬사를 받았음에도 음의 에너지에 대한 해석은 조롱의 대상이었고 결국 디랙은 이듬해 출판한 논문에서 이 양전하 입자가 양성자일지 모른다고 한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