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스페셜
"
셈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래 기술 거부하는 'GMO 완전 표시제'
2025.02.26
대부분 육종 기술을 이용해서 '품종 개량' 과정을 거친 '유전자 변형 생물체'인
셈
이다. 지구상의 인구가 80억 명을 넘어설 정도로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은 우연한 기회에 개발한 육종 기술 덕분이었다. 그렇다고 전통적인 육종 기술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인구가 늘어나고 농경·목축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케네디의 입김으로 규제가 느슨해져 생유 소비가 늘어나면 팬데믹의 위험성도 커지는
셈
이다. 오늘날 지구촌의 많은 것들이 미중 두 나라가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가 기타 나라들의 몫인 형국이다. 따라서 두 나라의 협조 없이는(주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지구촌의 웰빙을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때' 더 큰 희열 얻는 '지적 겸손'
2025.01.25
생각들을 정립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삶을 통해 삶을 배우는
셈
이다. 이런 점에서 지적 겸손도가 높은 사람들이 타인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삶을 접할수록 삶과 세상에 대해 배우는 깊이와 너비가 달라질 것이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노쇠 중심 노년 패러다임’이라고 부른다. 나이듦의 부정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셈
이다. 막상 자연 생태계를 면밀히 조사하자 나이 든 개체의 비율이 예상보다 높았다. 게다가 화석이나 과거 기록을 보면 예전에는 더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인간의 개입이 클수록 나이 든 개체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교사·학부모·전문가의 의견에는 아무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사실을 고백해 버린
셈
이다. 국가 백년대계인 교육 정책은 교육부 장관이 함부로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것이 절대 아니다.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은 교육부가 자초한 것이다. AI 디지털 교과서 정책에 대해서는 어떠한 사회적 숙의(熟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6%나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지구촌의 배출량이 0.8% 늘어나는 데 절반 가까이 기여하는
셈
이다. 나머지 증가분도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미 등의 개발도상국이 차치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보유한 선진국은 인구가 정체되거나 줄고 있어 이미 꺾인 배출량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 이겨내는 고난이 있을까
2024.11.16
문제는 표면에 드러난 증상일 뿐이고 그 이면에 훨씬 큰 진짜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는
셈
이다. 최근 노숙인들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그 인식들이 도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접했다. 여기에서도 노숙인들이 그 상황에 처하게 된 이유가 단순히 '게으름' 같은 개인적이고 내적인 문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수 있었던 건 세계 연구자 누구에게나 공개된 PDB의 고품질 실험 데이터를 학습한 덕분인
셈
이다. 만일 PDB가 실험 데이터라고 무조건 받아주거나 예측 데이터가 섞여 있는 상태였다면 AI 프로그램이 잘못된 학습으로 지금 같은 성능을 발휘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2024 노벨화학상 수상자들이 PDB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만남으로 잠깐 공동연구를 하고 생명의 기원 연구로 넘어간 뒤 잊고 있다가 상을 받은
셈
이다. ● 빗물이 코아세르베이트 단단하게 해 얼마 전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에서 생명의 기원과 관련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소개한 기사를 읽었다. 초기 지구에서 소위 원형세포(protocell)라고 부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위암 발생을 피할 수 있었다. 특히 위암 발생률이 높은 한중일의 사람들이 가장 덕을 본
셈
이다. "인류에 가장 큰 혜택을 준 사람들을 선정해 상을 주라"는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꼭 맞는 수상자가 워런과 마셜 아닐까. 로빈 워런 박사의 명복을 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