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스페셜
"
셈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비해 섭취량이 30% 정도 줄었다. 고온에 1시간 노출됐지만 효과는 하루 동안 지속된
셈
이다. 고온에 노출되면 뇌간-시상하부 신경회로가 활성화돼 식욕이 억제된다. 즉 몸에 분포한 온도수용체가 감지한 고온 정보를 받은 뇌간(뇌교)의 부완핵(PBN)은 제3뇌실(3V)에 면한 시상하부의 띠뇌실막세포(녹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시나리오다. 이번 논문이 제시하는 루카가 맞다면 우즈의 가설이 47년 만에 폐기되는
셈
이다. 루카는 우드-융달 경로에 필요한 유전자들을 지니고 있었지만 캘빈회로나 메탄생성 회로 등 다른 이산화탄소 고정 메커니즘에 필요한 유전자는 갖추지 못했다. 이들은 이산화탄소와 함께 수소가 있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것으로 추정된다. 대학 진학을 앞둔 입시생에게 의대는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유혹인
셈
이다. 입학정원이 한꺼번에 1509명이나 늘어나는 내년부터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진다. 이미 불안한 조짐이 확인되고 있다. 사교육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심지어 초등학교 5학년에게 의대 진학에 필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기후변화가 아시아 일대에서 볏과 식물의 씨앗을 채집해 먹기 시작하게 한 계기였던
셈
이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가 끝나고 이전 빙하기 기후로 돌아가 수천 년이 지난 뒤 이번에는 마지막 아빙기로 불리는 지구온난화 시기(1만 4700~1만 2900년 전)가 찾아왔다. 이때 북반구 평균 기온이 2℃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상태에서 서서히 완성되는 것은 시지각 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한 진화의 결과인
셈
이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 프로그램을 만들어 백내장 수술을 받는 청소년에게 적용할 계획이다. 수술 직후에는 흑백의 방에 지내게 하는 식으로 색 정보를 억제해 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받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식습관이라는 말도 과학적으로 정확한 표현인
셈
이다. 예전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음식의 영양 정보를 뇌에 알려주는 장의 무의식적 신호 체계의 부실함이 오늘날 과식으로 인한 비만 만연의 배후라는 사실을 알게 됐더라도 이를 개선하는 데 별 도움은 안 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수용해 버렸다. 2000명이 '최소한의 필수적 조치'가 아니라는 사실을 스스로 인정해 버린
셈
이다. 의대 증원의 규모가 '과학적 근거'가 아니라 '주먹구구식'으로 결정된 것이라는 의사단체의 지적은 당연한 것이다. 그렇다면 의사단체들이 주장하는 '원점 재검토'도 거부할 명분이 없다. 의대 증원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선택하는 소위 '이과' 학생들을 무섭게 빨아들이는 최상위권 대학이 하나 더 생기는
셈
이다. 의대 쏠림이 심각한 상황에서 이공계 인력 양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대학 해체 시도가 새로운 것은 아니다. 작년에는 전국의 모든 대학이 무차별적인 벽 허물기를 강요하는 교육부의 어설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않은 상황임에도 무리하게 도움을 주려고 하고 결과적으로 끼어들거나 오지랖을 부린
셈
이 되어 상대를 불편하게 만들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상대를 케어하는 데 있어 ‘강박적’이고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 회피 애착을 보이는 사람들의 경우 불안정 애착과는 또 다르게 상대방의 어려움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연구개발 현장에 실제로 투입되는 연구개발 예산은 무려 5조9000억원(18.8%)이나 줄어든
셈
이다. 연구 현장에서 절박한 비명이 쏟아져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연구과제의 삭감·중단에 합의된 분명한 원칙이 있는 것도 아니다. 아무 예고도 없이 날아오는 삭감·중단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