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뉴스
"
학습
"(으)로 총 2,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대생 전원 복학 등록…수강률은 3.8% 그쳐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한편 이날 건국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지도위원회는 의대·의전원 홈페이지에
학습
권 침해 관련 제보가 다수 접수됐다고 공지했다. 수업 참여자 명단 작성·공유 등 교육 받을 권리를 방해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엄정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의대뿐 아니라 ... ...
18년 만에 목소리로 의사소통 한 사지마비 환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쓰러지기 전 녹음된 음성을 기반으로 재현했다. 연구팀은 환자가 훈련 중에
학습
하지 않았던 단어도 인식해 음성을 만들어낼 수 있고 환자의 생각을 읽고 이를 음성으로 생성하는 것 사이에 수 초간의 지연 없이 연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더 많은 참가자를 ... ...
좌우 뇌 역할 달랐다…타인 고통 공감, 우뇌가 좌우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ACC 회로를 억제해도 공포 반응은 유지됐다. LC-ACC 회로는 직접 겪는 위협 상황이나 이미
학습
된 공포 반응에는 관여하지 않으며 오직 타인의 고통을 관찰할 때 느끼는 공감적 공포에만 특화된 정서 회로란 설명이다. 나아가 연구진은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상위 수준의 회로도 밝혀냈다. 특정 뇌 ... ...
데이터 부족한 단백질구조 예측 AI 알파폴드…제약사들 자체 AI 구축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PDB)에 저장된 수십만 개의 구조 정보를 활용해
학습
됐다.
학습
한 정보의 대부분은 세포에너지원과 같은 생체분자와의 결합 구조에 한정됐다. 약물처럼 인위적으로 만든 분자들과의 결합 정보는 거의 없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제약사들이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 ...
의료영상 읽고 전문의 수준 보고서 작성…'의학적 서사력' 갖춘 AI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작성한 보고서와 비교했을 때 어색함이 없도록 했다. 또 질병 분류을 비롯한 임상 지식을
학습
해 정확도를 높이고 풍부한 표현을 구사하게 했다. 연구팀은 GenMI가 임상현장에서 의사를 보조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GenMI가 초안을 작성하고 의료진이 검토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 ...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 실천율 146개국 중 최저"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성별, 걷기 실천,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학교에서 체육‧스포츠 활동팀 참여, 주중
학습
목적 이외 좌식 활동 시간 등이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한 학생은 주 5일 미만에 비해 신체활동 실천율이 약 3배 높았다. 학교에서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주 3회 ... ...
[사이언스영상] 보드 타는 강아지 로봇
SEIZE
l
2025.03.26
세 가지 동작을 자연스럽게 전환해야만 안정적으로 보드를 탈 수 있다. 연구팀은 강화
학습
을 통해 로봇이 동작과 동작 사이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도록 훈련했다. 초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무작위로 행동하던 로봇은 각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마다 보상을 받았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에서 ... ...
첫 돌 이후부터 기억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이 연구에선 미로에서 탈출구를 찾는 훈련을 받은 새끼 쥐는 탈출구 위치가 어디인지
학습
한 경험이 엔그램으로 남은 사실이 확인됐다. 하지만 성체가 된 쥐는 탈출구의 위치를 잊어버렸다. 과학자들이 엔그램이 남은 뇌 영역의 세포들을 활성화하자 성체 쥐는 다시 탈출구를 찾아냈다. 유아기 ... ...
'잡아 먹거나, 잡아 먹히거나'…사냥꾼 거미, 사냥감 거미
2025.03.22
빨리 직진으로 공격한다. 놀랍게도 평생 가죽거미와 한 번도 마주친 적 없는 개체도
학습
없이 알을 문 가죽거미와 물지 않은 가죽거미를 구분해 사냥전략을 수정한다. 하지만 이 능력은 오직 야생에서 가죽거미와 서식지가 겹치는 개체군에서만 나타난다. 연구진이 가죽거미와 서식지가 겹치지 ... ...
'친구' 전멸시키는 치명적 박테리아 전세계서 창궐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시도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이 박테리아의 진화에 대해
학습
할 수 있는 정보 보고이기도 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대표적인 항생제 중 하나인 반코마이신에 내성이 있는 반코아이신 내성 장내구균(VREfm)에 집중해 연구를 진행했다. VREfm은 전 세계적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