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치
어금이
뉴스
"
어금니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리핀에서 6만7000년 전 신종 인류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이는 약 300만 년 전에 살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의 특징과 닮았다(본원적 특성). 반면
어금니
의 모양이 비교적 단순하고 크기가 작은 것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의 특성과 좀더 닮았다(파생적 특성). 그러니까 하나의 종 안에 약 200만~300만 년의 차이가 나는 인류의 특성이 모두 담겨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독샘(왼쪽 큰 덩어리)과 부속샘이(오른쪽 작은 덩어리) 나란히 붙어있고 도관을 따라
어금니
로 연결돼 있다. 독샘과 부속샘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해보면 그 조성이 꽤 다르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그런데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이런 맹독을 약으로 써 왔다. 인도 전통 아유르베다 ... ...
국내 最古 유골 흥수아이, 구석기인 아닐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8.03.02
상태를 바탕으로 구석기 유골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했다. - 사진 제공 윤신영 “위아래
어금니
대부분에서 충치가 보입니다. 갈아 만든 음식이나 곡식을 먹는 신석기시대에는 흔하지만, (곡물 농사를 짓기 전인) 구석기시대에는 거의 보기 힘든 특징입니다.” 최근 만난 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 ...
거대 바다 악어 두 마리 사냥해
팝뉴스
l
2018.02.16
자라고 무게는 최대 2톤이다. 로저 매튜스가 잡은 악어는 각각 4.2미터와 4.4미터이다.
어금니
를 보면 무시무시한 크기다. 어른 손바닥 길이여서, 공포감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사냥꾼은 갈고리와 밧줄만을 이용해 악어를 잡았다고 자랑한다. 갈고리로 찌른 후 주둥이를 묶어 물에서 끄집어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아래턱뼈 화석이다. 크기가 좀 클 뿐 형태는 오늘날 사람들과 거의 비슷하다. 세 번째
어금니
(사랑니)까지 제자리에 잘 잡혀있다. 그 뒤 턱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사랑니가 위치할 공간이 부족해져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고 있다. - 네이처 제공 그런데 이번에 추가 발굴의 결과가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개를 분석한 결과 10만~12만5000년 전으로 밝혀졌는데
어금니
가 크고 튼실해 데니소바인의
어금니
를 연상케 했다. 이 결과는 2015년 학술지 ‘미국신체인류학저널’에 실렸다. 사실 최근 수년 사이 중국에서는 놀라운 고인류학 발굴이 이어지고 있다. 2015년 ‘네이처’에는 중국 남부인 후난성(湖南省) ... ...
진짜 매머드가 나타났다?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30
올록볼록하게 생겼고, 아래쪽은 비스듬한 삼각형을 그리고 있어요. 재미있게도 매머드의
어금니
는 입 안쪽부터 앞으로 자라나요. 이빨이 다 닳아서 사라지면, 뒤에서 자란 이빨이 앞으로 밀려 나오지요. 이런 식으로 평생 5번까지 이갈이를 할 수 있답니다. 털매머드의 상아는 코끼리와 달리 끝이 ... ...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10.19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으로 죽어 독일에 묻힌 여성 유골의 셋째
어금니
에서 비교적 잘 보존된 DNA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DNA를 분석해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을 일으킨 페스트균의 염기 서열을 확인했다. 또 페스트균이 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유전자 nrdE, fadJ,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호빗의 턱뼈보다도 더 작았다. 함께 발굴된 치아의 경우도 좀 더 원시적인 형태인 1번
어금니
를 빼면 호빗의 치아와 비슷했다. 턱뼈와 치아 외에는 다른 골격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호빗의 조상이라고 봐도 별 무리가 없는 결과다. 무엇보다도 호빗이 소두증인 현생인류라는 집요한 주장이 이제 힘을 ... ...
너구리는 단일종? 지역마다 다르다네!
2015.11.18
사는 너구리보다 두개골이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북쪽에 서식하는 너구리는
어금니
가 발달하고 주둥이가 길어 육식에 유리한 특징을 나타내는 등 지역에 따라 식성 또한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한국 너구리의 골격표본 사진. 연구팀은 전국 각지의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기증 받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