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치
어금이
뉴스
"
어금니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중 하나다. 그런데 사랑니가 아예 나지 않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가장 큰
어금니
가 제3대구치였는데, 이제는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었다. 현대인의 치아에서 가장 큰 치아는 제1대구치다. 약 30만 년 전 무렵부터 사랑니가 없는 변이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 인구 중 약 25억 명이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20여 종에 불과합니다. 가축이 된 동물들은 겉모습이 달라집니다. 소의 뿔이나 돼지의
어금니
처럼, 야생에서 살 때 중요하게 쓰이던 기관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고고학자들은 유적 주변에서 발견되는 동물 뼈에서 이런 흔적을 찾아내 가축의 기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과 가까워진 가축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히브리대 알렉산더실버만생명과학연구소 교수팀은 지난 9월 발견된 손가락 뼈 조각과
어금니
에서 DNA를 채취해 해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복원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처럼 경사진 이마와 돌출된 아래턱뼈를 가졌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보다 더 넓은 얼굴을 가진 게 ... ...
"기술만 보지말고 시장을 보라" 실험실 창업에 선배들의 조언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배원규 숭실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올해 8월 독사
어금니
의 모양을 본뜬 새로운 형태의 바늘을 만들고 실험실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독사는 날개 형태의 이빨로 피부에 구멍을 낸 후 모세관을 통해 독을 주입한다. 연구팀은 이를 모방한 바늘로 약물을 기존 주사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는 아르기닌(R)이고 데니소바인은 라이신(K)이다.
어금니
에서 추출한 콜라겐 1알파2 단백질의 996번째 아미노산은 라이신이었고 따라서 뼈의 주인공인 데니소바인으로 밝혀졌다. 데니소바 동굴을 벗어난 지역에서 처음 확인한 데니소바인 화석일 뿐 아니라 이들이 ... ...
[이정아의 미래병원]아픈 주삿바늘 떠오르는 병원 잊어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물질을 넣는 것이다. 지난 8월에는 배원규 숭실대 전기공학부 교수팀이 독사의
어금니
를 모방해 통증 없이 약물을 체내로 주입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도 개발했다. 뱀이 동물을 물면 독샘에 들어 있던 독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피부에 빨려 들어가는 원리를 흉내 냈다. 물줄기를 빠르게 쏘는 ... ...
가깝고도 먼 친척인류 얼굴 잇따라 복원
2019.09.20
교수팀은 2008년 러시아 시베리아의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손가락 뼈 조각과
어금니
에서 DNA를 채취해 해독한 뒤, 생전 DNA에 남은 후천적 화학변형인 ‘후성유전’ 특성을 바탕으로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복원하는 데 처음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19일자에 발표됐다. ... ...
'겉모습은 독사 이빨 같지만'…통증 없는 약물 전달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회오리치는 홈이 보인다. 사진제공 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해
어금니
구조를 흉내낸 다양한 모양의 미세한 바늘 구조체 100여 개를 엄지 크기의 약물전달패치에 부착했다. 바늘 구조체는 길이가 1mm가 채 안 되고, 굵기가 머리카락의 2~3배에 불과해 거부감을 적게 일으킨다. 그 뒤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이 화석에서는 고 DNA 조각을 전혀 발견할 수 없었기에, 연구팀은 대신 턱뼈에 남은
어금니
한 개에서 단백질을 분리해 해독했다. 프리도 웰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연구원은 “현생인류의 단백질에 의한 오염이 가장 큰 문제였지만, 화석 속 단백질은 잘게 파편화돼 분명히 구분할 수 ... ...
'당신의 구강나이는 OO살입니다' 국내 첫 치과종합검진센터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붙였다 뗏다를 반복하니 스크린 속 치아 위로 알록달록한 그래프가 나타났다. 힘이 센
어금니
일수록 그래프가 더욱 길고 뾰족하게 나타났다. 29일 서울 회기동 경희대치과병원에서 부정교합이나 악관절을 검사하는 동적구강기능검사(MMS)를 시연했다. 병원 측은 이 검사장치 외에도 치아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