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어금니"(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헬스토크] 입속에 생기는 구강암은 예방 가능…흡연 시 10배 위험동아사이언스 l2025.04.20
- 건강한 습관을 가질 것을 권장했다. 구강암은 입천장, 잇몸, 볼 점막, 혀, 혀 밑바닥, 어금니 뒷부분, 턱뼈, 입술, 구인두(혀 후방부), 목 연결 부위 등 입안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악성종양이다. 특히 혀, 잇몸, 볼 점막에 많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구강암 발병률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2023.02.21
- 본격적으로 커지기 시작한 200만 년 전보다도 훨씬 더 오래전 일”이라고 썼다. 물론 어금니의 주인공이 파란트로푸스라고 해서 이들이 석기를 만들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초기 호모속 인류가 쓰다 버린 걸 주워다 쓴 것일 수도 있고 이들이 잔치를 벌이고 간 자리에 우연히 파란트로푸스 화석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2022.09.06
- 것은 아니다. 침팬지와 갈라진 뒤 특히 호모속이 나타난 뒤 도구와 불의 사용으로 턱과 어금니가 작아지는 쪽으로 진화가 가속화됐기 때문이다. 물론 하루에 고작 30분을 그것도 부드러운 음식을 씹는 데 쓰는 현대인들의 씹기근육은 운동 부족 상태이지만 말이다. 한편 껌의 종류도 중요하다. 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2021.07.13
- 게 왠지 역설적으로 느껴진다. 중국 티벳 샤허에서 발견된 아래턱뼈 화석으로 커다란 어금니가 박혀 있어 데니소바인으로 추정되고 콜라겐 아미노산 분석 결과도 이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번 논문에서 저자들은 하얼빈 두개골과 가장 가까운 호모 롱기라고 주장했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2021.03.16
- DNA에서도 게놈 정보를 얻는 데 실패한 경험이 있다. 그런데 놀랍게도 무려 세 개의 어금니 시료에서 염기 해독에 성공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연대가 165만~110만 년 전으로 추정돼 2013년 말 게놈 기록인 78만~56만 년을 훌쩍 뛰어넘는 신기록을 세웠다. 발굴지를 따서 ‘크레스토프카’로 명명된 이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베이킹 소다와 레몬, 치아 미백효과 없다동아사이언스 l2020.09.10
- 같은 방법으로 칫솔질을 하는 게 좋으며, 가능하면 잘 닦이지 않는 위쪽 맨 뒤에 있는 큰 어금니의 뒷면부터 시작해서 바깥쪽 면으로 이동하며 닦는 것이 좋다. 칫솔모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홈, 치아와 치아 사이에 살짝 끼우듯이 고정시킨 후, 칫솔머리를 짧게 진동 주듯이 움직여 닦는다. 짧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2020.06.23
- 대장의 염증이 심해진다. 셀 제공 치주염은 미생물과 면역계 활동의 부정적인 결과다. 어금니를 실로 묶어 클렙시엘라속과 엔테로박터속 구강미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돼 이 녀석들의 밀도가 높아지면 면역계가 이를 인식해 대응하는 과정에서 염증이 유발된다. 여기에는 수지상세포(DC ... ...
- [의학게시판] 전자담배와 일반담배 섞어 피우면 대사증후군 유병률 높아 外동아사이언스 l2020.05.26
- 최근 정의됐다고 25일 밝혔다. 어금니∙앞니 저광화는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큰 영구치 어금니가 덜 자라는 현상을 일컫는다. 치아색이 다른 치아와는 명확히 다르거나,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을 때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일반적인 칫솔질에도 시리다는 증상이 있다. 어린이의 10%가 이런 ...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 중 하나다. 그런데 사랑니가 아예 나지 않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가장 큰 어금니가 제3대구치였는데, 이제는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었다. 현대인의 치아에서 가장 큰 치아는 제1대구치다. 약 30만 년 전 무렵부터 사랑니가 없는 변이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전세계 인구 중 약 25억 명이 ...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2019.12.21
- 20여 종에 불과합니다. 가축이 된 동물들은 겉모습이 달라집니다. 소의 뿔이나 돼지의 어금니처럼, 야생에서 살 때 중요하게 쓰이던 기관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고고학자들은 유적 주변에서 발견되는 동물 뼈에서 이런 흔적을 찾아내 가축의 기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과 가까워진 가축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