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의 투수결정하는 4가지 지표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선수를 한 줄로 세워 놓고 비교할 수 있다. 투수와 타자의 WAR을 구하는 방법이 다르고,
정확
한 WAR 계산 방법이 알려지지 않았다. 야구 통계 분석 사이트마다 다른 식을 이용한다. 현재 모든 구단이 WAR을 활용하고 있다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순위가 높다는 단순한 사실에 착안해 이 식을 만들었다. 현재는 피타고리안 승률의
정확
도를 높이기 위해 지수 2를 1.83으로 바꿔 계산하고 있다. 그런데 피타고리안 승률은 MLB 기록에 맞춰 만들어졌기 때문에 KBO 기록과는 딱 들어맞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수를 조정하기 위해 KBO 기록을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뛰는 것이 심판의 판정에서도 좀 더 유리하다고 한다. 심판은 어느 팀에도 치우치지 않고
정확
한 판정을 해야 하지만, 압도적으로 많은 사람이 한 팀을 응원하면 심판이 심리적으로 압박을 받기 때문이다. 심리학에서는 개인의 태도나 행동이 집단에 영향을 받는 것을 ‘동조 이론’이라고 한다. 202 ... ...
하스스톤 확률 이용해 카드 내기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제자리로 돌아오는 값이 적당하다. 프로게이머들은 감도가 낮으면 속도가 느린 대신
정확
도가 높은 것처럼 감도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말한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 자기만의 감도를 찾아 똥손을 벗어나 보자. 게임이론으로 분석한 게임 핵 지금까지 수학을 활용한 게임 전략을 살펴봤다. 그런데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얘기하고 있다는 전제 조건도 잊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명제가 아니라면 그 진위를
정확
히 판단하는 기준이 없어 보편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인지 알 수 없으므로 수학에서는 할 일이 많지 않습니다. 수학이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수학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하다 보니 말이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우리에게 전해줄 수 있는 정밀한 시계가 된다. 펄사의 회전주기는 현존하는 시계 중 가장
정확
한 원자시계의 주기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단 1분의 오차도 없이 정각에 도착하던 버스가 늦었다면 필히 그 사이 무슨 일이 있던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은 펄사가 내뿜는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기자는 2023년의 끄트머리에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과학동아 카페에 유럽우주국(ESA)의 외관 사진을 올렸었죠! 그런데 여행이 닷새를 넘어가자, ... 방법이 아닐까요? 이와 함께 산업계는 제조 과정에서 유해 물질 발생을 줄이고, 언론은
정확
한 정보만 과장없이 전달하려고 노력해야할 겁니다 ... ...
전술의 신 3. 삼각형 패스 대형 짜기 생성나무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선수가 허브 역할을 해 선수들 사이의 거리의 합이 줄었다. 패스 거리가 짧으니까 더
정확
하고 효율적인 패스를 할 수 있던 것이다. FC 바르셀로나처럼 삼각형이 많은 대형을 구상하는 것이 패스를 효율적으로 하는 비결인 셈이다.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으로 수비 구역 사수법 대형을 갖췄으면 ... ...
수학으로 설계된 롤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두 지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 중간에 장애물이 있으면 유클리드 거리로 구하는 것이
정확
하지 않기 때문이다. 롤에서도 거리를 맨해튼 거리로 정의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니 여기서는 맨해튼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를 모두 구해서 알아보고, 게임을 하며 어느 거리로 측정한 것이 더 맞는지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이 구성만으로도 진화의 원리와 의의를 가장 갈로아답게 보여준다. 과학을 재밌고
정확
하게 전하는 이 작가의 개성이 분명해서다. ‘K-파브르’라고 불릴 정도로 곤충 덕후이고 서울대 대학원 생명과학과에서 메뚜기의 계통 진화를 연구 중인 갈로아의 ‘본진’, 곤충에서 시작해 이 세상에서 팬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