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치예보모델 방정식 풀어 날씨를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습도, 바람, 구름량 등의 기상 자료는 통신을 통해 기상청에 실시간으로 전달되지요. 관측 자료는 지구를 바둑판처럼 나눈 수억 개의 사각 격자에 들어가고, 지난 모델의 예측 자료와 합쳐져 수치예보모델의 초기값이 됩니다. 이를 ‘자료동화●’라고 해요. 슈퍼컴퓨터로 미래의 날씨가 어떻게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브로켄 현상이 일어난 겁니다. 브로켄 현상은 주로 산이나 비행기처럼 높은 곳에서 관측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추측할 수 있듯 일반적인 브로켄 현상은 관찰자의 발, 그러니까 관찰자 기준으로 지평선 아래에 생깁니다. 일반적인 무지개가 왜 지상에서 볼 때는 둥글지 않고 반원처럼 형성되는지는 ...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입력값으로 들어가는 관측자료에도 오차가 포함돼 있고, 산, 바다의 복잡한 지형으로 관측도 공백이 많아요. 수치예보모델도 현재 기술로 대기의 상태를 완벽하게 반영한 방정식을 만드는 게 불가능하고요. 또 최근엔 기후위기로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반영하기엔 ... ...
- [과학사] 우리나라 첫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2.3m, 너비 1.3m, 길이 6.9m의 거대한 위성입니다. 아리랑 1호에는 전자 광학 카메라, 해양 관측 카메라, 이온층 측정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등 여러 장비가 탑재되었어요. 당초 3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던 아리랑 1호는 2007년까지 8년 동안 다양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보내오다가 2007년 12월 29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땀샘 / 슈퍼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달을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슈퍼문은 태양 반대편에 있는 달이 근지점 근처에 있을 때 관측할 수 있어요. 원지점에 있던 달보다 겉보기 지름이 14% 더 길고, 30% 더 밝습니다. 이 현상은 1년에 3~4번 정도 나타나요.슈퍼문이 뜨면 밀물과 썰물의 해수면 높이 차가 평소보다 커져요. 밀물과 썰물은 지구와 ... ...
- [출동! 기자단] 시상식 취재와 MIT 과학자 인터뷰를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구성하는 탄소 원자에 전자기파를 통과시키는 실험을 통해 시간 결정의 진동을 관측했어요. 이 방법으로 시간 결정을 시각적으로 구현해내는 데 성공했지요. 최순원 교수는 30대의 젊은 나이지만, 시간 결정과 관련한 논문 외에도 양자역학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해 여러 국제 학술지에 18편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기체가 방울방울! 입안대고 풍선불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신, ‘야누스’라는 이름을 백색왜성에 붙였어요. 야누스는 미국 팔로마천문대의 천체 관측장비 ‘ZTF’에 의해 처음 포착됐습니다.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약 13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야누스의 밝기가 급격하게 변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어서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에 있는 전파망원경을 ... ...
- [이달의 우주날씨] 아름다운 꼬리를 그리며 우주를 가로지르는 혜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혜성이라 부르게 됐죠. 우리나라에서는 10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얼음과 암석으로 이뤄진 혜성은 멀리 있을 때는 작아 보이지만, 태양과 가까워질수록 태양풍의 영향으로 꼬리가 길게 나타나며 밝아집니다. 76년마다 돌아오는 핼리혜성, 5만 년마다 돌아오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가오는 태풍, 뱃머리는 어디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저기다! 저기예요, 꿀록 탐정님!”태풍이 북상하고 있다는 소식에 바다 위의 모든 어선에 대피하라는 명령이 떨어졌어요. 꿀록 탐정도 대피를 돕기 위해 ...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지구를 3차원의 격자로 나눈 뒤 기온, 바람 등의 기상 요소를 관측자료, 컴퓨터 모의 자료를 합쳐 만든 값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적용하면 2100년 우리나라의 해수면은 82cm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33년간 관측치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에요. 만약 이 전망이 현실이 되면, 부산 해운대는 아예 사라지고 제주도도 대부분 물에 잠겨 30만 명이 이주해야 합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저탄소 시나리오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