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직후인 1395년, 석판에 천문지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새겼다. 중국 한나라 무제 때 관측한 천체의 위치에 기반해 하늘을 가로지르는 은하수와 해달별의 변화, 그리고 별자리를 상세히 나타냈다. 하늘에 대한 정보가 곧 권력이 된 건 비단 동아시아만의 일이 아니었다. 멕시코의 ‘아즈텍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지하실험연구단은 중성미자 미방출 이중베타붕괴 현상을 관측해 중성미자가 스스로 반입자일 수 있는지 확인하려는 것이다. 이를 밝히면 소립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AMoRE-2 실험 장비는 이 중성미자를 방출하지 않는 이중베타붕괴 ... ...
- [과학뉴스] 일본 노토반도에서 규모 7.6의 강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진의 여파는 우리나라에까지 미쳐, 강원도 묵호항에서도 높이 0.8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지요. 교토대학교 우메다 야스히로 명예교수는 “노토반도 지하에 고여있던 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하면서 단층이 미끄러지기 쉬운 환경이 돼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어요. 일본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나아가고 파장이 길기 때문에 매질 없이도 먼 거리까지 갈 수 있습니다. SETI는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기술 문명을 가진 외계 지성체를 찾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외계인들도 장거리 소통을 한다면 전파를 활용할 것으로 보는 거죠. 우주 너머로 외계 지성체에게 보내는 인터스텔라 메시지는 주로 1 ... ...
- 호우, 더 강해진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생각해왔지만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죠. 연구팀은 먼저 약 60년간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 남동부 연안부터 우리나라, 일본에 걸쳐 호우의 강도가 약 17% 늘어난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인간 활동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됐을 경우와 그렇지 않았을 때의 상황을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쓰이고 있다. 또한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RSA 암호를 몇 시간 만에 풀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수학자들은 차세대 암호를 한창 연구 중이다. RSA 암호 개발자 튜링상 수상 RSA 암호는 1977년 수학자 로널드 리베스트, 아디 샤미르, 레오나르드 아델만이 개발한 암호 알고리듬이다. 이들 성의 ... ...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속된 스펙트럼으로 관측할 수 있어 해왕성의 실제 색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구팀은 관측된 색상을 바탕으로 보이저 2호가 찍은 해왕성 사진의 색상을 재조정했다. 이 과정을 통해 복원된 해왕성은 천왕성과 거의 비슷한 청록색을 띤다. 다만 해왕성은 안개 대기층이 더 얇아 천왕성보다 살짝 더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업무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용어 설명● 재분석자료 : 위성, 레이더, 지상, 고층 등의 관측 자료와 컴퓨터 수치예보모델 자료가 융합돼 만들어진 자료. 바람, 온도, 습도, 구름량 등의 기상 변수를 포함하며, 실제 날씨에 가장 가까운 자료로 여겨진다.● 초단기 예보 : 6시간 내의 예보를 10분마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사람들, 주목! 나 마이보가 변비 해결 꿀팁을 알려주는 과학 영상을 가져 왔어. 최근 관측된 엄청나게 큰 에너지를 가진 정체 불명의 우주선, 사람의 눈이 2개인 이유, 지구 역사상 가장 신비로운 포식자인 모사사우루스에 관한 영상도 함께 보자고! 최근 러시아의 내과 전문의 다리야 ...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입력값으로 들어가는 관측자료에도 오차가 포함돼 있고, 산, 바다의 복잡한 지형으로 관측도 공백이 많아요. 수치예보모델도 현재 기술로 대기의 상태를 완벽하게 반영한 방정식을 만드는 게 불가능하고요. 또 최근엔 기후위기로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반영하기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