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기
신생아
젖먹이
어린애
아이
아가
베이비
d라이브러리
"
애기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09
이 정보를 처리하는 학문이다. 김 연구원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그러나 식물모델인
애기
장대만 하더라도 게놈 크기가 119Mb나 되고 유전자 수는 무려 3만 2670개에 이른다. 한 사람이 연구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동물이나 식물의 게놈을 모두 분석할 때는 여러 연구팀이 ‘컨소시움’을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연구가 진행 중이다.소똥구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애기
뿔소똥구리의 애벌레에서 펩타이드성 항생 물질을 분리했다.모기최근 사이언스지에는 모기의 침에 백신 성분을 넣어 ‘날아다니는 예방 주사’로 활용하는 연구가 소개 됐다.누에허물을 벗고 3일이 지난 누에를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07
처음에 10분 걸렸다면, 그 다음에 다시 반(초기의 1/4)으로 줄어드는 데도 10분이 걸렸다는
애기
다. 즉 맥주 거품이 생긴 뒤 그 양이 1/2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 10분이라면 처음 양의 1/4 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20분이라는 뜻이다.색이 있는 비눗방울이 있을까?색을 띠는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을까?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06
고려대 연구팀은 국내 최고(最古) 미라로 꼽히는 학봉장군 미라를 연구해 조선 전기에는
애기
부들 꽃가루를 각혈 약으로사용했으며, 당시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식생활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한국미라가 많지 않은 이유한국엔 이름이 알려진 미라가 몇 개 없다. 김한겸 교수와 신동훈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05
수많은 식물세포가 모여 있는 모습이다. 장엄한 생명의 합창이 들릴 것 같은 이 사진은
애기
장대가 자라는 모습을 공초점현미경으로 확대한 장면이다. 연구진들은 세포분열 장면을 연구하기 위해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넣어 발현 여부를 관찰했다. 세포 외곽을 알 수 있게 세포막에 반응하는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03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호에 실렸다.연구팀은 ‘
애기
장대’에서 유전자 두 개(DELLA와 SCL3)가 상호작용하면서 지베렐린 농도를 세포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현상(항상성)을 발견했다. 지베렐린은 식물을 성장시키거나 꽃을 피우고 열매를 통통하게 살찌우는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
과학동아
l
201101
이끌며 1997년부터 애벌레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애기
뿔소똥구리, 붉은점모시나비, 물장군의 증식과 복원에 대해 연구 중이다. 서식지외 보전이란 멸종 위기에 놓인 야생 동식물을 서식지가 아닌 시설에서 인위적으로 키워 야생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애벌레들이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10
역할을 한다고 결론지었다.그 뒤 선충 뿐 아니라 초파리, 생쥐, 사람 등 동물뿐 아니라
애기
장대, 벼 등 식물에서도 작은 RNA 조각이 발견됐고 이들을 통칭해 ‘아주 작다’는 뜻의 접두사 마이크로(micro)를 붙여 ‘마이크로RNA’라고 부르기로 했다. 보고되는 마이크로RNA 수가 늘어나면서 명명법도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10
복잡하고 추상적인 단어를 만들었다. 그가 어렸을 때 니오타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애기
수컷과 함께 사탕을 먹고 서로 뽀뽀하는 것을 즐겼기 때문이다.또 칸지는 ‘크다’라는 카드와 ‘물’ 카드를 함께 사용해 ‘홍수’라는 말을 만들었다. 칸지가 살고 있는 연구소가 위치한 미국 아이오와 주에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03
“하지만 다른 분자들도 이 과정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애기
장대에서는 FT 단백질과 매우 비슷한 TSF 단백질이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동해 개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그런데 잎이 꽃을 피우는 신호를 전달한다면 개나리, 진달래, 벚꽃은 어떻게 잎 없이도 이른 봄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