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애기"(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08
- 이런 식물의 겨울나기를 ‘춘화처리’라고 부르며 후성유전으로 설명한다. 한 예로 애기장대(Arabidopsis )에는 개화를 억제하는 FLC 유전자가 존재한다. 꽃이 피지 않는 첫해에는 FLC가 강하게 발현되지만 겨울이 오면 추위에 따라 FLC의 발현이 점차 줄어든다. 겨울이 끝날 때는 더 이상 개화를 억제하지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04
- 개화 시기도 알 수 있다. 개화유전자도 마찬가지다. 안지훈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애기장대의 경우, 개화와 관련된 AP1 유전자가 나오기 시작하면 4~5일 안에 꽃이 핀다”며 “개화와 관련된 유전자나 호르몬, 단백질의 양을 재면 꽃이 언제 필지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 ...
- 지구사랑탐사대 가족캠프 생물 탐사하며 미션 수행!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요정이 나올 것 같아. 습지에는 연뿐만 아니라 핫도그처럼 통통한 암꽃이삭이 달려 있는 애기부들, 바람 따라 춤을 추는 갈대가 가득 차 있어. 물속에는 붕어와 치리, 참개구리, 물자라, 물달팽이, 우렁이, 잠자리 유충 같은 동물이 함께 살지. 눈과 입부터 배 끝까지 온통 새빨간 고추잠자리도 하늘을 ...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과학동아 l201409
- 토마토에 기생하는 새삼의 0.17%는 토마토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로 숙주인 애기장대와 토마토에서도 새삼의 전령RNA가 각각 0.6%, 0.38% 있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것이 새삼과 숙주가 서로 전령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해석했다.연구팀은 “새삼은 숙주의 전령RNA를 얻어 숙주의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06
- 긴 포가 있고, ‘각시원추리’는 연녹색의 작은 포가 있으며, ‘태안원추리’는 ‘애기원추리’ 와 유사하나 향이 없다고 합니다. 이처럼 형태로 ‘노랑원 추리’ ‘골잎원추리’ ‘백운산원추리’ ‘홍도원추리’ ‘골잎원추 리’도 구분했습니다. 우리 야생화를 모두 아는 길은, 아 직 험난한 것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04
- 유전자의 구조 및 기능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꽃의 형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애기장대에서는 꽃의 각 부분(꽃잎, 꽃받침, 암술, 수술)의 형태 형성을 ‘ABC모델’로 설명하고 있다. A-클래스(class), B-클래스, C-클래스 유전자들의 발현이 조합을 이루어 꽃의 각 부분 형성을 조절한다는 ...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322
- 잡초에 장수의 비결이 있다고? 속았군, 속았네.진짜예요, 진짜! 저는 두해살이풀인 ‘애기장대’예요. 이래봬도 식물 유전학 연구의 모델 식물이라고요~! 식물로는 처음으로 2000년 말에 약 1억 2500만 개나 되는 전체 염기 배열이 거의 완전하게 해독되기도 했지요.보기보다 능력은 있네~. 그럼 장수의 ... ...
- 식물도 쓰다듬으면 잘 자란다과학동아 l201310
- 식물은 이런 스트레스에 대해 내부의 생화학 작용을 바꾸는 식으로 반응한다.연구팀이 애기장대를 문지르자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전자가 활성화됐다.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잎 표면의 보호층이 좀 더 통과하기 쉽게 변해 내부에서 각종 분자가 배출됐다. 연구팀은 이런 분자가 면역 반응에 기여하는 ... ...
- [수학뉴스] 밤새도록 수학 계산을 하는 식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308
- 수학적 모델을 따르는 것일 뿐 지능을 가진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애기장대 수학모델이 기러기 등 철새들의 비행시간과 지방소모량의 관계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과학동아 l201304
- 국수나무, 쥐다래나무, 산앵두나무 등이 분포한다. 0.7m 이하의 초본층에는 제비꽃, 애기나리, 고사리, 더덕 등이 있다.한 관광객이 무심코 버린 담배 때문에 낙엽이 연기를 내면서 불이 붙기 시작한다. 이후 이 불길은 주변에 가득한 나뭇잎을 태우고 강한 바람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이용해 점차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