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기
신생아
젖먹이
어린애
아이
아가
베이비
d라이브러리
"
애기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충 막는 유전자 변형 식물
과학동아
l
200511
해충을 퇴치하는 유전자 변형 식물이 개발됐다.네덜란드 바게닝겐대의 아이리스 카퍼스 교수팀은 밀을 먹어치우는 진드기의 천적을 유인해 진드기를 막는
애기
... 위에 놓았다. 그 결과 보통의
애기
장대에는 197마리의 진드기 천적이 모였지만 유전자 변형
애기
장대에는 388마리의 천적이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08
부서진 다음, 위액이 분비되는 네째위(주름위)로 이동, 비로소 소화된다 다만 낙타과와
애기
사슴과는 겹주름위와 주름위가 분화되지 않아 방이 3개이다생물체의 발광(發光)에 관계하는 물질 발광 관련 효소인 루시페라제(luciferase)와 결합하여 발광을 일으킨다 여러 종류의 루시페린이 있는데, 그 ... ...
첨단식물의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504
감자가 나오고 오이에서 사람의 단백질을 만든다. 중금속을 빨아들이는 포플러나무와
애기
장대가 환경을 지킨다. 자동차 연료는 콩과 유채꽃에서 뽑아낸다. 세계 각국은 귀중한 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종자전쟁을 벌이고 있다. 앞으로 식물은 전기도 만들고 우주 샐러드도 제공할 것이다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04
내에 상대적으로 해가 적은 곳에 축적한다. 이 교수는 “효모에서 YCF1을 얻은 후 이를
애기
장대에 넣었더니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식물의 몸 안에 있어도 해를 끼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교수의 연구결과는 지난해 생명공학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식물 생리학’(Plant Physiology)에 발표돼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04
재배하는 등 적극적으로 우주정원을 가꾸기 시작했다. 미국도 같은 해 우주에서
애기
장대를 재배해 40일 만에 열매를 맺게 하는데 성공했다. 세계 15개국이 함께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도 우주정원을 경작하고 있다.우주정원에서 자라는 식물은 무중력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지구와 다르게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03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메커니즘이 작용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연구팀은
애기
장대를 비롯한 몇몇 식물에서 PAPP5 유전자를 과다 발현시켜봤다. 그 결과 빛에 대한 민감성이 실제로 20~30% 정도 증가했다. PAPP5 유전자가 피토크롬이 최적의 상태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조절한 것이다 ... ...
고양이들의 나이팅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2
어렸을 때 쓰레기통 옆에 버려져 죽어가고 있는 걸 누나가 구해서 키웠다고 해요.
애기
2, 3밍키와 동자 사이에 있는 새끼고양이와 함께 누나네 집에서 태어난 녀석들이랍니다. 엄마인 밍키가 몸이 안 좋지만 다른 고양이들의 애정어린 보살핌을 받고 있지요. 하지만 녀석들의 몸 상태도 안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12
000개라는 논문이 과학 전문지 ‘네이처’ 10월 21일자에에 발표된 것이다. 이것은 식물인
애기
장대와 비슷하고 선충이나 초파리보다 겨우 몇 백 개에서 몇 천 개가 많은데 불과하다. 대회 위원회는 이 결과에 충격을 받아 노진스상 선정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유전자 대회’는 실제로 일어난 ... ...
인간 유전자 수 파리와 엇비슷
과학동아
l
200411
갖고 있다는 믿음이 더욱 흔들리게 됐다. 유전자 수로 볼 때 파리가 2만여개에 달하고,
애기
장대 2만5천개, 꼬마선충 1만9천개 등이다.이번 연구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에 발표됐으며 지금까지 발표된 것 가운데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의 99.7%를 99.9%의 정확도로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07
실험용 식물인
애기
장대에 이 유전자를 삽입해 중금속을 ‘꿀꺽 먹어치우는’ 슈퍼
애기
장대를 탄생시킨 것. 주인공은 다름 아닌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이영숙 교수였다.식물로 독성 제거한다 식물은 방어메커니즘의 일환으로 유해금속을 흡수해 액포 속에 저장함으로써 스스로는 독을 피하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