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더하기"(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앵무새의 정리수학동아 l201008
- 알아볼까요? 연분수는 정수와 분수의 합으로 나타낸 수입니다. 이때 분수의 분모도 정수 더하기 분수 모양으로 계속 반복됩니다. π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니 신기합니다. 이 외에도 π를 나타내는 수식이 많습니다. 수학자들이 발견한 수식을 찾아보며 π의 신비를 느껴 보세요.Epilogue_시간이 ... ...
- 창의적인 발명가 되는 비결과학동아 l201004
- 중학교 1학년 기술과 가정 교과서에 소개된 9가지 발명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더하기 발명. 신발 바닥에 걸레를 붙여 걸어 다니면서 걸레질이 가능한 실내화나 숟가락과 포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숟가락 포크가 좋은 예다. 이미 있는 물건이지만 같이 있을 때 편리한 것들을 합체하는 ... ...
- 가르고 모으는 집합의 세계수학동아 l201003
- 쓴다. {2, 3, 4, 6, 9}와 같이 두 집합을 합해 만들어진 집합을 합집합이라고 한다. 집합에서 더하기 기호는 ‘∪’이다. 합집합을 뜻하는 영어단어는 union으로 라틴어의 unio(유니오)에서 왔다. unio는 ‘양파’, ‘진주’, ‘합치다’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양파, 진주 한 알 한 알이 ... ...
- 새 교과서의 두 번째 성격! 나는 ○○○○!수학동아 l201002
- 이용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돼. 이 문제의 경우 포환던지기의 규칙도 알 수 있어.수학 더하기 음악 도레미송 악보의 일부다. 음의 길이가 보기와 같을 때, 음표 옆에 점을 찍는 것은 그 음의 길이의 절반만큼 소리를 더 내라는 뜻이다. 문제의 음표 길이를 각각 구하여라.이번엔 음악과 함께 공부하는 ... ...
-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002
- 비슷할 거야. 마지막 세 번째를 볼까? 세 번째는 대부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학식이야. 더하기 기호인 + 와 나누기 기호인 ÷ , ‘같다’를 의미하는 =의 의미를 알기 때문에 ‘4와 2를 더한 뒤에 3으로 나누면 그 값은 2가 된다’ 라고 말할 수 있어. 따라서 수학에 새로운 문자와 기호가 등장했을 때 ...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01
- ‘삼삼승방 다오근 소이진수(三三乘方多五根少二眞數)’라고 표현했다. ‘다(多)’는 더하기, ‘소(少)’는 빼기를 뜻한다. 중국이 명나라 청나라로 들어와 실용수학 중심으로 흐름이 바뀐 것과 달리 조선은 송·원시대의 전통 수학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켰다.그렇다면 조선 이전의 수학사는 ... ...
- 사칙연산에 새겨진 영어수학동아 l200911
- 배’에 해당하는 말로 ‘5배나 크다’라고 말할 때는 five times bigger라고 표현한다.곱셈이 더하기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라면 나눗셈은 뺄셈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29를 3으로 나눌 때, 나누어지는 수 29를 dividend라고 하며 나누는 수 3을 divisor, 몫에 해당하는 수 9를 quotien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과학동아 l200909
- 어울려 젊은이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쫄면의 주재료는 밀가루다. 여기에 쫄깃함을 더하기 위해 호화된 전분과 구아검 같은 식품첨가물을 넣는다. 검이란 물에 녹아서 점성을 나타내는 고분자화합물인데, 맥주의 거품안정제나 젤류의 보존물로 쓰인다.하지만 쫄면의 질긴 듯한 쫄깃함은 열과 ...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과학동아 l200909
- 풍부한 행정직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면접에는 KAIST 소속 교수 외에도 평가의 공정성을 더하기 위해 외부인사가 일부 참여한다. 올해 학교장 추천 전형에는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 이인호 전 러시아 대사,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홍창선 전 KAIST 총장 등 사회저명인사들이 참여했다.학교장 추천 ... ...
- Part 3. "모든 문제를 식으로 바꾸어라"수학동아 l200909
- 수 있어. 쐐기문자를 표처럼 그려 수와 식의 관계를 표현한 거야. 이집트의 파피루스에는 더하기와 빼기를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가는 다리 모양으로 표시한 것을 볼 수 있어. 등호 '='는 '같다', x는 '미지수(아하)'와 같은 말로 쓰기도 했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χ와 수학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