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스페셜
"
숫자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수 있다. 1970년대 이미 이런 측정이 이뤄졌고 그 결과 우리 은하에서만 이런 엄청난
숫자
의 양전자가 만들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그러나 이 양전자가 도대체 어디서 온 것인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지난 40년 동안 이에 대한 가설이 분분한데 암흑물질에서 블랙홀까지 안 건드려본 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이들 나라에서 모든 평가의 기준은 논문의 내용이 아니라 게재된 저널의 임팩트팩터
숫자
라는 것이다. 임팩트팩터가 높은 저널에 논문을 싣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필자의 친구들을 떠올리면 씁쓸한 웃음이 나올 뿐이다. 또 다른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는 오늘날 과학자가 너무 많은데 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부위에 따라 유전의 영향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조사한 사람
숫자
가 너무 적거나 실제 얼굴이 아닌 사진(2차원)을 갖고 측정을 하거나 사람이 일일이 재면서 오차가 생길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 연구마다 결과가 들쑥날쑥했다. 곡률을 분석해 산출한 유전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이런 조직에 있는 신경세포(뉴런)의
숫자
가 줄어든다. 그 결과 수면에 대한 압력(수면욕)이 줄어들고 잠을 깨라는 신호도 약해진다. 즉 잘 때 제대로 못자고 깨어나서도 정신이 맑지 못하다는 말이다. 나이가 들수록 낮잠을 자는 비율이 높아지는 이유다.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원자 배열의 ‘규칙성’을 나타냅니다. 결정 우측 상단의
숫자
는 시간을 의미하지요.
숫자
을 잘 보면 잘 보면 시간이 흐르는데 동일한 형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공간에서 원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결정’이라고 부르니 시간에서 원자 배열이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시간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성능은 일반 컴퓨터 성능에 훨씬 못 미쳤다. 양자컴퓨터로 소인수 분해를 한 최대
숫자
는 21에 머물렀다. 소인수분해를 하기 위해 큐비트를 늘릴수록 큐비트를 제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2011년 디웨이브 출시, 양자컴퓨터 연구 재주목 2011년 한동안 정체됐던 양자컴퓨터 연구에 다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합성했지만 어디까지나 진짜 생명체다. 즉 스스로 유전자를 발현하고 대사하고 복제로
숫자
를 늘릴 수 있다. 인공세포 모식도. 위는 기름 속에 있는 물방울 형태(w/o emulsion)이고 아래는 수용액에 있는 리포솜 상태다. 인공세포 안에는 유전자를 담고 있는 작은 게놈(DNA)과 ‘전사/번역 시스템’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특화된, 대식세포의 친척인 셈이다. 뇌세포의 12%를 차지해 뉴런과
숫자
가 비슷한 미세아교세포 역시 오랫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평소에는 가만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처리해야 할 대상이 생기면 나타나 식작용을 하고 다시 보초를 서는 뇌 속의 면역세포 정도로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한 논문에 따르면 기상학자들이 밥 딜런의 노래에 등장하는 소절을 논문에 인용한
숫자
는 163개에 달했다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5년 출간된 자신의 책 제목을 딜런의 노래 제목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 on Heaven's Door)'로 정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과학자들이 딜런을 얼마나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가장 많이 보기 위한 자연선택 과정에서 변수가 될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즉 자손의
숫자
는 ‘생존율’과 ‘생식값’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노안으로 생존율이 지장을 받는 시점 (아마도 50대 이후)에서는 이미 생식값 (생식능력)이 꽤 낮은 상태다. 게다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서로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