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스페셜
"
숫자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그보다 작은 값은 산성, 큰 값은 알칼리(염기)성이다. 따라서 pH1이면 산성이지만 이
숫자
만으로는 얼마나 큰 차이인지 실감이 안 난다. pH는 수소이온농도의 상용로그에 –1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pH1은 pH7에 비해 수소이온농도가 100만 배나 더 높다는 뜻이다. 음식물이 위로 넘어올 때 위가 이렇게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
로, ‘시간의 역사’를 실제로 읽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다(참고로 ‘시간의 역사’의 호킹 지수는 6.6이다). ‘시간의 역사’에는 그의 질병에 대한 언급이 두 세 번 밖에 나오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결과는 전혀 다르다. 성숙한 뉴런을 제외한 앞의 모든 세포들은 나이가 듦에 따라 급격히
숫자
가 줄어들어 노인까지 갈 것도 없이 청소년 시기에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의 장점은 선명한 이미지 데이터로 보이는데, 미성숙 세포들이 나이에 따라 급격히 줄어드는 과정이 그럼처럼 전개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24의 4의 느낌이 같지는 않아요.” 당시 공감각 경험자가 수채화 물감으로 그린 글씨.
숫자
나 문자를 인식할 때 떠오르는 색을 재현했다.- 과학동아 2008년 6월호 '오감의 네트워크 공감각' 편 축삭생성에 관련된 유전자에 변이 있어 2000년대 들어 게놈분석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몇몇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옆의 그래프는 2003년 미국인의 나이에 따른(가로축) 연간 사망률(세로축으로 로그척도다.
숫자
에 100을 곱하면 %다.)을 보여주는데 곰페르츠 법칙이 놀라울 정도로 잘 들어맞는다. 하지만 사람을 빼면 많은 개체를 수명을 다할 때까지 키우는 개나 고양이 말고는 포유류의 최대수명을 알기 어렵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대장에 사는 RT027의 개체수를 조사해봤는데 뜻밖에도 먹이에 트레할로스가 있다고 해서
숫자
가 늘어나지는 않았다. 대신 클로스트리디움이 내놓는 독소(toxin B)의 농도는 두 배 이상 높았다. 즉 트레할로스를 대사하는 과정에서 독소를 더 많이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떨어진 낙진을 섭취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파란 동그라미는 세로축
숫자
100에 그어진 굵은 가로선(2012년 일본 정부는 수산물의 방사성세슘 허용치를 ㎏당 500베크렐에서 100베크렐로 강화했다) 밑으로 내려가 2013년 초 이후에는 100베크렐을 넘은 경우가 없다. 즉 후쿠시마 주변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하루나 이틀 사이 최대 밝기가 평소 광도보다 7~18등급 더 올라간다. 1등급이 올라갈수록(
숫자
가 작아질수록) 2.5배 더 밝아진다. 따라서 설사 우리 은하에 있더라도 맨눈으로는 결코 보일 일이 없는 백색왜성이 신성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고전 신성은 실록에 묘사된 것처럼 2주 정도 지나면 다시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전망을 보였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외로운 사람들일 거라는 생각과도 다르게 교우관계의
숫자
와 친밀함을 느끼는 정도에서 일반인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정치적 의견이 다른 사람을 위협 또는 협박 하거나 상대를 자극하기 위한 각종 ‘트롤링’을 하는 것, 상대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50년대 무렵 서호주 지역에서 수렵채집 생활을 하던 한 아보리진은 평생토록 만난 사람의
숫자
가 20명도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런 환경이라면 내집단을 선호하고 외집단을 경계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그렇지 않습니다. 매일 수백명의 사람을 만나고, SNS에 올린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