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스페셜
"
숫자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은퇴한다. 1956년엔 아무도 인간 염색체 갯수에 관심이 없었다. 유전학의 발전에서 염색체
숫자
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효모 유전학이 빠르게 발전하던 시기를 지나 1985년이 되어야, 효모의 염색체 갯수가 결정되기도 했다. 혹자는 말한다. 만약 치오의 발견이 없었다면, 인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하다. 그 뒤로 나는 다시는 위화도 회군의 사례를 꺼내지 않았다. 참고자료 1.
숫자
를 쓸 때 국제적인 공식 표기법은 세 자리마다 띄어쓰기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Decimal_separator) 2. 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비용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자연사박물관건립 실행계획 수립 연구 (http://www.prism.go.kr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① ADHD 진단하는 '로봇짱'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3칸으로 이뤄진
숫자
판이 깔려 있다. 로봇짱이
숫자
를 부르면 어린이가 기억했다가
숫자
판에 궤적을 그린다. 이와 동시에 로봇의 모니터에는 동화를 토대로 만든 15분 짜리 게임이 나온다. 예를 들어 '빨간망토와 늑대' 게임에서는 화면에 할머니가 나타나면 인사하고, 늑대가 나타나면 주저앉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만들어 나방으로 변신할 날을 기다리고 있다. 결국 먹을 게 부족해져 살아남는 새끼의
숫자
가 줄어들었다. 그렇다면 네덜란드 박새는 왜 기후변화에 대응해 산란 시기를 앞당기지 못한 걸까. 먼저 박새가 알을 낳는 시기와 새끼를 키우는 시기에 먹이를 얻기 위해 주로 찾는 나무가 다르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
2019.04.30
생각했다. 대신 아이는 나이만큼 ‘*’ 글자를 반복 출력하는 게 이상하다고 했다.
숫자
를 적으면 되는 것을 굳이 ‘*’ 글자를 쓰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엉뚱한 질문에 “참 좋은 질문이네.”라고 시작하며 어려운 용어를 나열하며 얼버무리던 노교수님이 떠올랐다. 사실 특별한 이유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과학자로 일하고 있는 사람의
숫자
는 대략 700만 명, 생존해 있는 노벨상 수상자의
숫자
를 70명이라고 계산해도 노벨상 수상자는 전체 과학자 10만 명 중 한 명에 불과하다. 천재 한 명이 수십만 명을 먹여 살린다는 말은 이건희 삼성 회장의 발언으로 유명해졌다. 그런 발언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 ...
홍역 확산을 계기로 살펴 본 성인이 꼭 챙겨야 할 백신 10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에 감염된 환자는 총 17명으로 전 해보다 3배 가량 증가했다. 다른 전염병에 비해 적은
숫자
지만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다, 감염 후 발병 속도가 빨라 24시간 이내에 생명을 잃을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다. 10명 중 1명꼴로 사망하며, 생존자 5명 중 1명은 신부전이나 청각 손실 같은 치명적인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⑦ 요구를 잘 이해하는 습관 길러주기
2019.03.27
않았다. 아예 다루지 않는 책도 있다. 먼저 자료형과 변수를 다루는 게 보통이다.
숫자
등 계산의 대상에 대한 소개가 먼저이기 때문이다. 그 후 각종 흐름 제어를 소개한다. 계산의 순서를 조정하여 계산을 효율적으로 하는 법을 가르치기 위함이다. 컴퓨터는 계산하는 기계라는 본업에 충실한 ... ...
몸집 커진 미세먼지 관측항공기 더 많은 장비·연구원 싣고 하늘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나노입자계수기, 0.5∼20㎛에 이르는 미세먼지를 입경(울퉁불퉁한 입자의 지름)별로
숫자
를 세는 미세먼지계수기 등 총 9개 장비가 항공기에 실렸다. 환경부가 도입한 새 미세먼지 관측 항공기는 이전에 사용되던 관측 항공기인 ‘킹에어-시90지티(KingAir-C90GT)’보다 더 많은 장비를 싣게 됐다. 약 15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그러나 딸기의 게놈이 무척 복잡하다는 사실에 경악했다. 딸기속(屬) 20여 종의 염색체
숫자
가 제각각이어서 적게는 14개에서 많게는 70개까지 종잡을 수 없었다. 우리가 먹는 딸기는 56개였다. 이는 파인애플딸기가 8배체(8x=56)라는 말이고 최대 네 가지 2배체(2x=14) 딸기가 조상일 수 있다는 뜻이다.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