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스페셜
"
생각
"(으)로 총 2,9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웃집 사는 경찰관의 시시콜콜한 정보 흘렸더니...동네 범죄율 뚝 떨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정보를 제공받은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상대방이 나를 더 잘 알고 있다’고
생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다른 1014명에게 본인 정보 중 맞는 내용 4개와 틀린 내용 1개를 말하게 한 뒤 이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면 과연 거짓을 골라낼 수 있을 것이라고 느끼는지 물었다. 그 ... ...
네이처 "EU·한국, 온실가스 저감 가장 신경 쓴 코로나 경기부양책 시행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존스홉킨스대 환경보건및공학부 교수는 “2030년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목표는 우리가
생각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며 “향후 몇 달, 몇 년동안의 경기부양책을 고려할 때 온실가스 배출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일자에 게재됐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자연에는 두 종류의 입자가 있다
2022.03.03
사실은 놀라운 결과로 이어진다. 같은 입자 둘로 이루어진 계를 기술하는 파동함수를
생각
해 보자. 간단한 예를 들자면 하나의 전자가 1번 상태에 있고 다른 전자가 2번 상태에 있다. 여기서 두 입자를 뒤바꾸는 작업을 수행해 보자. 만약 입자를 바꾸는 작업을 두 번 수행하면 우리는 당연히 원래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2년 전으로 되돌아간 방역시계
2022.03.02
있다. 생활치료시설과 보건소의 지원조차 기대할 수 없는 재택치료 대상자의 상황은
생각
보다 훨씬 절박하다. 정부가 어렵사리 마련해놓았다는 위중증자 치료 시설이 충분한 것도 아니다. 코로나19 환자는 물론 보건 시스템을 지탱하는 핵심인 의사와 간호사의 감염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 ...
러 연구소 공동연구·우주개발 협력 잇단 중단…러 과학계 "고립 안될 일. 전쟁중단"서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1
과학 저널리스트들은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다른 나라의 동료들과 협력 없이는
생각
할 수 없다"며 "세계로부터 러시아의 고립은 긍정적 전망이 아예 없는 문화적, 기술적 퇴보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출판된 러시아 연구 논문의 24%가 외국과의 ... ...
차세대중형위성2호·아리랑6호 발사 사업도 러 제재로 '위기'
2022.02.28
가한 제재에 비춰볼 때 러시아의 임무에 미국의 지속적인 참여가 부적절하다고
생각
한다”고 밝혔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은 국내 우주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올해 중 국내 개발 위성 2기가 러시아의 로켓을 통해 우주로 발사 예정이기 때문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 ...
러, 우크라이나 침공 불구 체르노빌 원전 무사…"전투 휘말리면 1986년 재앙 재현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7
하지 않을 것”이라며 “원전이 파괴되는 상황을 피하려고 가능한 모든 것을 할 것으로
생각
한다”고 말했다. 켐프 교수는 “오히려 실질적 위협은 러시아군이 수중에 넣은 원자력 발전소를 멈추고 연쇄 정전을 초래해 우크라이나 전력망의 성능 저하를 꾀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짜뉴스에 쉽게 빠지는 사람의 특성
2022.02.26
적극 소비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또 남들은 다 아는 사실을 자기만 모르면 안 된다는
생각
에 부지런히 가짜 뉴스를 소비하고 퍼나르는 사람들도 있다. SNS에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들 또한 수 많은 정보를 하나하나 따져볼 시간적 여유와 인지적 자원을 잃었기 때문인지 가짜 뉴스를 무비판적으로 ... ...
‘누리호’ 6월 15일 우주 향해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있었던 부분은 이미 개선을 하고 있기 때문에 3차 발사 성공률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
하지만 해외 사례들을 보면 어제 발사하고 오늘 실패하는 게 우주발사체다. 그래서 성공을 100% 보장하기는 어렵다. 1차 발사에서 굉장히 아쉬운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2차 발사는 반드시 성공을 시켜야 된다는 ... ...
[KAIST ISPI국제포럼] "미국 혁신 벤처 키운 주변국 투자로 중국 견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러너 교수는 “생산 이후에 기술 혁신이 일어난다는 건 잘못된
생각
으로 기술을 만들고 생산하는 공정에서 직접적인 과학 발견이 나온다”며 “제조공정이 돌아오면 다시 과학 혁신으로 돌아가는 계기가 된다”고 말했다. 미국은 대학이 이뤄내는 혁신에서 리쇼어링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