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술을 마시는 이유, 맛있다고 느끼기 때문!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도파민을 나오게 한다는연구 결과를 ‘네이처 신경정신약물학’ 저널 4월 15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남성 49명(평균 25세)을 모아 맥주와 이온음료의 맛을 느낄 때 뇌의 도파민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양전자단층촬영장치(PET)로 비교했다. 실험 참가자의 주량은 많이 마시는 사람부터 적게 마시는 ... ...
사진으로 본 지구의 날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기념해 지구 환경을 이해하고 지키는 데 도움을 주는 사진들을
발표
했다. ...
나이에 따라 직업 바꾸는 개미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분석해 개미가 나이에 따라 직업을 바꾼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18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컴퓨터로 개미를 일일이 추적해 활동 영역과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3가지 직업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의 비율은 양육 40%, 청소 30%, 먹이 수렵 30%였다. 직업마다 주로 ... ...
지진 예측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변화 정도 차이를 예상해 이 지역에 누적된 응력량을 계산했다. 이들의 연구결과가
발표
되자, 아이티 정부는 이들에게 지진 위험성을 문의하기도 했으나 중남미 최빈국 중 하나인 아이티로서는 충분히 대비할만한 여유가 없었다.지진 피해 줄이는 조기 경보 시스템지진 예보에는 아직 한계가 많다.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분야와 문제에 개방적인 그녀의 자질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뇌터는 서른아홉에
발표
한 논문에서부터 스스로의 독창성을 과감하게 표현하며, 현대수학의 흐름에 중요한 기여를 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그녀는 ‘환★의 아이디얼 이론’을 정립하고, 유한 생성되는 환의 개념을 체계화했다. 이는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흔적인 셈이다. 아직 본격적인 편광 분석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 송 박사는 “조만간
발표
될 예정”이라며 “진짜 논란이 될 내용은 그 이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과학이 증명된다는 것은 과학자들을 흥분시키는 일이다. 하지만 빛으로도 볼 수 없던 태아 우주를 만난다는 것은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전화에 호되게 시달렸다고 털어놓았다. 지난 3월 7일 해외 학술지(플로스 제네틱스)에
발표
한 연구결과 때문이다. 키와 당뇨를 비롯해 유전에 좌우될 수 있는 49개의 특성을 선정한 뒤한국인 8000여 명의 DNA에서 30만 개를 비교한 대규모 연구였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이기도 했다.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제니퍼 루이스 일리노이대 재료과학공학과 교수가 개발해 2011년 ‘응용재료’ 저널에
발표
했다. 연구개발 현장에서 다양한 표면에 쉽게 회로를 그리기 위해 개발했다. 종이 등 휘는 곳에도 사용할 수 있다.미래의 펜은 어떨까상상력 넘치는 펜의 모험은 끝나지 않는다.필립스사는 2008년에 ‘감정을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네이처에는 연구 논문도 함께 실렸습니다. 논문의 요지는 간단합니다. 이번에
발표
된 화석이 리처드 리키가 1970년대에 발견했던 화석과 아주 흡사하다는 내용입니다. 리처드의 화석은 더 이상 ‘외로운’ 화석이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종의 대표 화석이 됐죠. 이를 통해 200만 년 전의 초기 호모 속은 ... ...
[수학뉴스] 트위터로 알아본 행복, 집에서 멀어질수록 행복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글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트위터의 이런 특성을 이용한 재밌는 연구결과가
발표
됐다. 미국 버몬트대 수리통계학과 연구팀이 트위터에 쓴 글을 분석해 사용자의 행복의 정도를 알아본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팀은 2011년 동안 약 18만 명이 트위터에 쓴 3700만 개의 글을 분석했다.먼저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