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박사와 데이비드 린드 NASA 고다드연구소 박사가 ‘지오피직스 리서치 레터’에
발표
한 연구에 따르면 화산이 큰 규모로 분화하면 약 2~3년 동안 화산재로 인해 평균 기온이 낮아진다. 1991년 분화한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의 경우 지구 평균 기온을 0.3℃나 냉각시켰고, 3년이 지나서야 영향력이 ... ...
비커 속에서 꽃이 폈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축제 때 과학 동아리에서 단골로 보여주는 ‘물유리 실험’. 물유리라고 부르는 규산나트륨 수용액에 금속염을 넣으면 규산염이 자라면서 물속에 산호마냥 예 ... 수도 있었다.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5월 17일자에 다양한 모양의 구조물 사진과 함께
발표
됐으며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
뚱뚱하면 계속 뚱뚱해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호르몬 분비를 교란해 계속 비만 상태가 유지된다는 연구를 ‘생물화학지’ 5월 2일자에
발표
했다.닐니 교수는 비만 쥐가 정상 쥐에 비해 알파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알파-MSH)이 결핍됐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알파-MSH란, 뇌 속 시상하부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그래도 비록 조작으로 드러났지만, 황우석 박사팀이 성공했다고
발표
했을 당시 수백 개의 난자를 사용해서 2개를 성공했다고 한 것에 비하면 성공 확률을 크게 높인 것이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난자를 적게 쓰고도 성공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발전을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맞는 셈이다.김미나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가 2011년 ‘한양 메디컬 리뷰’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황색포도알균은 우리나라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의 5분의 1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박테리아다. 그런데 그 중 90%가 다제내성균인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이다. 중환자실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참여한 뒤 14일에는 하루 종일 심사위원들 앞에서 영어로 자신들의 연구를 직접
발표
했다. 15일에는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자신의 연구를 전시했으며 15일 저녁과 16일 진행된 시상식에서는 한데 어우러져 전 세계 참가자들과 수상자를 축하했다.최종 시상식이 끝난 뒤 일부 참가 학생들은 힘들었던 ... ...
‘힉스’와 ‘중성미자’를 대하는 신문의 자세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해외 신문에 비하면 갯수가 적었다. 또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의 오류 소식은 첫
발표
에 비하면 매우 작게 다뤘으며 아예 보도하지 않은 곳도 많았다. 주요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했다. 이 조사는 KAIST 과학저널리즘대학원의 연구프로젝트로도 함께 진행됐다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합니다. 이것이 바로 레슬리 아이엘로와 피터 휠러 영국 런던대 인류학과 교수가 1995년
발표
한 ‘비싼 조직 가설’입니다. 실제로 다양한 동물들을 비교한 결과, 과연 두뇌 크기와 소화기관 크기는 반비례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두 번째 문제는 두뇌 크기에 맞춰서 머리뼈도 자라야 한다는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식물성 사료를 1% 섞어 먹였더니 분뇨 악취 물질이 최대 32%까지 줄 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겨우 1%의 비율이 이렇게나 큰 차이를 보인다니 놀라운 결과다. 문제는 돼지 체중 증가량이다. 일반 사료를 먹였을 때에 비해 식물성 사료를 먹였을 때 돼지의 하루 체중 증가량이 10g 이상 적었다 ... ...
숫자만 인지하는 뇌 부위 발견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미국 스탠포드대 연구팀이 사람의 뇌에서 숫자에만 반응하는 미세한 영역을 발견했다고
발표
했다.스탠포드대 의대 조세프 파르비치 교수 연구팀은 수술을 위해 검사하고 있는 간질 환자들의 뇌에 아주 작은 영역의 활동성까지 구별할 수 있는 전극을 꼽아 관찰하는 실험을 했다. 그리고 나서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