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5색 아빠,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한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친구도 잘 사귀고 사회 적응력이 좋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1주일에 3~4번 아빠와 함께 목욕을 한 아이들이 친구를 사귀는 데 심각한 문제를 겪는 비율은 3%에 불과했다. 그저 1주일에 3~4번 목욕하는 시간 정도만 투자하면 된다.덧붙이자면, 꼭 생물학적 아빠가 ... ...
새로운 AI 바이러스, 대륙을 떨게 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그 결과 “가금류 시장과 야생 비둘기에서만 신종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4월 17일
발표
했다. 중국 뉴스통신사 신화망은 “돼지가 신종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돼지를 강조한 데는 이유가 있다. 돼지는 AI 바이러스와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둘 다 ... ...
맥구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연구위원인 캐서린 하킴 박사가 2010년 옥스퍼드대 저널 ‘유럽사회연구’에
발표
한 논문을 엮은 책입니다. 중요한 가치가 돈이나 지식, 경험, 인맥에서 매력으로 넘어갔다는 것이지요.물론 인맥은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억지로 만들어진 인맥은 결코 오래 가지 못합니다. 그런 ... ...
달은 중력도 울퉁불퉁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안전한 궤도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달의 중력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발표
한 사진은 중력이 강한 곳은 붉은색, 약한 곳은 푸른색으로 표시해 누가 봐도 달의 중력 분포를 한 눈에 알 수 있지요. NASA는 두 탐사선의 속도와 거리 차이를 이용해 예전에 비해 30~50배 더 정밀한 데이터를 ... ...
‘텔레파시’ 동물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실험에 성공해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28일자에
발표
했다. 서로 다른 동물 개체의 뇌와 뇌를 연결하는 ‘뇌-뇌 인터페이스(BTBI)’기법을 이용했다.연구팀은 실험용 쥐 두 마리를 준비해 각각 다른 실험 상자 안에 가뒀다. 첫 번째 쥐가 있는 방에는 두 개의 LED ... ...
사회생활 못하는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분석한 결과 네안데르탈인의 뇌는 시각과 움직임에 더 많은 영역이 할당돼 있다고
발표
했다.기존 연구에 따르면 고위도 지역에서 진화한 인류일수록 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영역이 크다. 상대적으로 빛이 부족한 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화석을 연구해 네안데르탈인의 안구가 현생 ... ...
‘킬 빌’ 닮은 말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히트작 ‘킬 빌’. 주인공 ‘베아트릭스 키도’는 노란 트레이닝복을 입고 매력적인 액션을 선보인다. 최근 이 인물의 이름을 딴 기생 말벌이 발견됐다.도널드 키케 ... 이지코박물관 자연사부 박사팀이 발견했으며, 이 연구결과 역시 막시류연구에
발표
됐다 ... ...
로봇은 자폐아의 친구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신경시스템과재활치료공학 학술지에 3월 30일
발표
했다.ASD는 자폐증과 자폐증보다는 증상이 약한 아스퍼거증후군 등 여러 형태의 자폐증세를 말한다. 연구진은 ‘아리아(ARIA)’라는 이름의 로봇 시스템을 설계했다. 로봇 몸체는 프랑스에서 만든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벼에서 FT 단백질이 잎에서 정단조직으로 이동하는 플로리겐이라고 사이언스에 동시에
발표
하였다. 그들은 여러 가지 복잡한 기술을 활용해 mRNA가 아니라 FT 단백질이 플로리겐이라는 것을 보였다. 한 번 속은 과학계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결과가 필요했다. 특히 호박의 관다발 조직에서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때마다 세계 곳곳의 REG가 아주 작지만 분명히 무작위적이지 않은 값을 출력했다고
발표
했다. 대중들이 함께 같은 생각을 동시에 하는 것만으로 전자기기인 REG에 미약한 노이즈가 발생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그간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약 300여 건의 사건이 우리의 가정이 옳다는 것을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