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토성 고리의 고향은 카이퍼 벨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했다. 그 결과 천체들이 행성 주위를 여러 번 가깝게 지나가면서 쪼개졌고, 원래 질량의 0.1%~10% 만큼 잘게 부서져 행성 궤도에 포획되는 경우도 많았다.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사용해 이 조각들이 긴 세월동안 반복적으로 고속충돌을 겪으면 훨씬 작은 조각으로 나뉜다는 것도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30~40년 동안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활동을 재개할 땐 24~72시간 전에는 전조현상이 나타난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화산 재해 예측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얼마 전 경주에 지진이 났을 때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에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약 30만 점의 종자를 모아 보관할 계획”이라며 “중심 터널에 종자장기저장고 터널을 4개까지 만들 수 있기 때문에 400만 점 이상의 종자를 영구 보관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안타깝고 참담한 심정”이라는 말은 수동태 사과에 해당한다. 잘못의 주체를 ‘특정 개’이라고 말함으로써 대통령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았다. 뒤이어 “모두 저의 잘못이고 저의 불찰”이라는 문구가 나오지만, 맥락상 실제 책임을 인정한다기보다 자책을 통한 동정심 유발 전략에 해당한다. ... ...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법칙을 따르는지 계산해 프랙탈 여부를 알아낸다.뇌 주름커다란 주름을 기준으로 몇 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안에 잔주름이 오밀조밀하다. 뇌 주름을 다 펴면 총 넓이가 신문지 한 장만 하다. 뇌 주름은 표면적을 넓혀 네트워크 수를 증가시키고, 혈류량을 늘려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이 두 뼈가 서로 다른 사람일 확률을 구한다. DNA 분석도 개체 구분에 유용하게 쓰이지만, 다른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꼭 필요한, 최소한의 뼈에 대해서만 실시하는 게 원칙이다.현대 사회는 수많은 사건 사고에 노출돼 있다. 무고한 사람들의 희생은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방식도 복잡하지 않다. 개발을 총괄하는 김명일 M&S 기술개발팀장(선임연구원)은 현재 개발을 완료하고 테스트 중인 헤모스 클라우드를 시연해 보였다. 먼저 제품을 설계한 도면을 입력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굴곡이 많은 자동차 휠의 입체 도면을 넣었다. 그러자 자동으로 각 부분을 격자 형태로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건물은 삼 면이 모두 유리창으로 돼 있고, 창가를 따라서 연구실과 회의실이 스무 개 정도 쪼르르 늘어서 있습니다. 안쪽에 열린 공간은 인턴들이 사용합니다. 연구실의 문은 넓은 통유리로 돼 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고 해요. 누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겠죠. 연구실은 연구원들의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마취 기술이다. 김 교수는 “현재 초기(seed) 투자는 거의 완료된 상태고 올해 말부터는 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고용할 예정”이라며 “의료기기 외에 다른 분야의 창업을 이끌 연구도 병행할계획”이라고 말했다.김 교수는 창업 아이템인 마취기기가 ‘생체 열전달’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성과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모든 과학자를 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블랙홀 과학사를 관통하면서도 중요한 개념과 논쟁을 충실하게 담아냈다.쉽지 않지만, 분명 사랑스러운 책이다. 저자의 블랙홀에 대한 애정이 담뿍 담겼다. 1962년 대학원 진학을 앞두고 블랙홀이란 용어를 만들어 낸 저명한 물리학자 존 휠러와 대화한 ... ...
이전4824834844854864874884894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