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마취 기술이다. 김 교수는 “현재 초기(seed) 투자는 거의 완료된 상태고 올해 말부터는 개발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고용할 예정”이라며 “의료기기 외에 다른 분야의 창업을 이끌 연구도 병행할계획”이라고 말했다.김 교수는 창업 아이템인 마취기기가 ‘생체 열전달’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성과 ...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넘어 더 넓은 우주로 눈을 돌렸지요.태양계엔 스스로 빛을 내는 태양을 중심으로 8개의 행성이 돌고 있죠?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우주공간을 ‘항성계’라고 불러요. 항성계 중심엔 태양과 같은 ‘항성’이 있지요. 항성은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답니다. 항성을 ...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엿보이는 손편지와 그림까지…. 이번 펜 드림 프로젝트에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600개의 상자가 모였어요.게다가 한 반 혹은 전교의 친구들이 모두 참여한 경우도 많았어요. 기사를 읽고 선생님께 말씀 드려서 함께하게 됐다고 해요. 직접 포스터를 그리거나 티셔츠를 맞춰 입고 적극적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공기의 양이 점점 많아지고 병 안의 압력이 올라간다. 압력이 높아진 공기는 지우개 뚜껑을 서서히 밀어내고, 뚜껑이 빠지는 순간 요구르트 병이 위로 밀리면서 발사된다.페트병으로 만드는 물로켓처럼 요구르트 병 안에도 물을 넣으면 실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질까?비교 실험을 위해 요구르트 병 ... ...
- [수학 뉴스] 폴 포그바의 댄스, 수학 문제로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망숑의 SNS에 풀이와 답을 올리고 있습니다. 폴 포그바 역시 자신의 SNS에 이 문제를 소개한 뒤, “내 댑 댄스는 훌륭하다. 내가 이미 증명했다” 고 말했습니다.한편 댑 댄스는 재미있는 춤 동작 때문에 미국에서 국민 춤으로 불리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손흥민 선수도 지난 8월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누가 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요리를 이서진과 윤균상이 나눠 하고, 에릭이 돌게 된장찌개와 계란찜을 하면 된다.하지만 삼형제의 근무지가 식당이 아닌 만큼 이대로도 나쁘지 않다. 느림보 에릭이 정성스럽게 만든 요리를 보는 게 즐겁기 때문이다. 그 사실은 높은 시청률로 시청자가 보여주고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수학자 블레이즈 파스칼은 덧셈과 뺄셈이 가능한 금속 계산기를 만들었어요. 톱니바퀴 8개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형태로, 톱니바퀴 각각은 각 자리의 수를 계산했어요.하지만 이들 계산기 모두는 삼각함수나 로그함수와 같은 계산은 할 수가 없어 천문학자나 수학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했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말입니다. 정사각형, 직사각형 혹은 육각형 모양으로 돼 있으며, 이들이 보여 주는 면의 개수에 따라 삼단(tri), 사단(tetra), 오단(penta), 육단(hexa)과 같은 접두어를 붙입니다. 플렉사곤은 한 쪽 방향으로 계속 뒤집다 보면 처음 보았던 면이 나타나는데, 뫼비우스의 띠처럼 시작과 끝이 없습니다 ...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한강의 발원지인 강원 태백시의 검룡소에서 수질정화 능력을 가진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다고 11월 7일 밝혔다.국립낙동강생 ...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기술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들어갈 수 없는 생물은 휴대용 3D 스캐너로 촬영할 예정이다.연구팀은 바다거북이나 개구리처럼 위험하지 않은 동물 종부터 작업하고 있다. 얼시크 교수는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디지털로 기록하는 작업은 후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모든 3D 모델을 ... ...
이전4794804814824834844854864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