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달해 주는 물질.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글랜즈먼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기억이 RNA에 저장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군소갯민숭달팽이와 인간의 중추 신경계에서 기억이 전달되는 과정은 비슷하기 때문에 기억이 전달되는 데 사용된 RNA의 종류를 알아낸다면 멀지 않은 미래에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커졌다. 대용량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때 발생하는 버퍼링을 줄여 줄 수 있는 초고속 저장장치 ‘버스트 버퍼’(1PB)도 적용됐다. 황순욱 KISTI 슈퍼컴퓨팅본부장은 “슈퍼컴퓨터는 최소 5년 단위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산 부족으로 계획보다 누리온 도입이 늦어져 많은 연구가 선진국에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붙일 수 있고, 파킨슨병, 간질 등 운동 장애 질환의 발병 여부를 모니터링해 측정 결과를 저장하며, 약물을 투여해 치료까지 가능하다. 김 교수는 2011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행하는 ‘MIT 테크놀로지리뷰’에서 ‘세상을 바꿀 젊은 과학자 35명’에 한국인 과학자로는 두 번째로 선정되기도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집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로켓의 위치, 고도, 속도 등 각종 데이터가 비행 컴퓨터에 저장돼 지상으로 전송됐다. 발사팀은 12월 6일 새만금에서 세 번째이자 마지막 발사를 진행한다. 권 교수는 “우리새-2호는 사실 1km 고도 제한을 맞추기 위해 다시 제작한 로켓”이라며 “고도 3km까지 비행할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않아 다른 발전 방식과 비교해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하지만 가연성이 높아 저장하기가 어렵다는 점과, 수소를 생성하는 비용과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2. 조력발전과 파력발전(재생에너지) 조력발전은 방조제를 쌓아 밀물과 썰물에 의한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핵실험과 같은 대규모 폭파가 일어나거나, 댐이나 저수지를 건설해 대량으로 물을 저장하는 경우, 또 광산 개발 등을 위해 지하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경우 등 인위적인 활동으로도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연구팀은 석유와 셰일가스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이런 지진이 발생하고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태양에너지가 도달하지 못한다. 반면 바다가 많은 북극은 상대적으로 태양열을 오래 저장할 수 있다. 그래서 남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55도 정도이지만, 북극의 연평균 기온은 영하 35~40도로 10도 이상 높다. 남극의 최저기온은 최근 기록을 갈아 치웠다. 올해 6월 테드 스캠보스 미국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카메라와 피사체, 카메라와 배경과의 거리를 계산할 때 쓰인다. 다양한 거리 정보를 저장해 배경 흐림 효과를 훨씬 더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카메라를 조합해 스마트폰 하나로 다양한 상황에서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 셈”이라고 말했다. Q.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개량의 가장 큰 목표는 뭐니 뭐니 해도 맛 아닐까. 순수한 빵의 맛은 밀의 종자 저장 단백질인 글루텐이 결정한다. 밀알에는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라는 크게 두 종류의 단백질이 있는데,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이 두 단백질이 섞이면서 그물 모양의 단백질 네트워크인 글루텐을 형성한다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0여 분을 걸어 들어가자 축구장 60개 규모(42만m2)의 건설 현장이 눈앞에 펼쳐졌다.기체 저장탱크를 지나 본관으로 들어서자 지름 28m, 높이 24m에 이르는 초대형 핵융합로가 설치될 구조물 건설이 한창이었다. 핵융합로는 ‘땅 위의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발전소의 핵심 시설이다. ITER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