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대"(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노베야마라는 곳에 지름 45m 전파망원경을 가지고 있다. 다행히 지름 21m 전파망원경 3대를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동시에 세우고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인데, 이 망원경들의 운용센터가 설립되면 동북아 전파천문연구의 허브가 된다.예정대로 막스플랑크 ...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아래턱이나 두개골이 매우 작거나 아예 없는 쥐가 태어난다.또 연세대 구강생물학교실 정한성 교수팀은 세포 내에 Bmp4 유전자가 많으면 팔, 다리가 등 쪽에 가깝게 만들어지고 Tbx3 유전자가 많으면 배 쪽 가깝게 팔다리가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미국 ...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동양에는 사람의 얼굴에서 동물의 형상을 읽어 관상을 보는 ‘물형관상’(物形觀相)이란 것이 있다. 물형관상으로 따지면 고려를 세운 왕건은 용의 얼굴에 호랑이의 턱을 가져 필시 왕이 될 관상이고, 조선의 1대 임금 이성계는 봉황을 닮아 나라를 세울 관상이라고 한다.건국 신화에는 이렇게 얼굴 ...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06년 11호
- 얘기하며 언제나 상석에 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물론 필자가 지난 9월 중순 연세대 노벨포럼에서 만난 테크니온이스라엘공대 아론 치카노베르 교수처럼 노벨상을 받았다고 특별 대우하는 것에 왠지 거북해하는 사람도 있다. 치카노베르 교수는 인체세포에서 ‘유비퀴틴’이란 분자가 ...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06년 11호
- 분자를 발견해 그 역할을 밝히고 있다. ‘메디에이터’(mediator)라고 부르는 이 분자는 연세대 김영준 교수가 연구실의 박사후 연구원 시절에 로저 콘버그 교수와 함께 밝혀냈다.인간이 가지는 약 3만개의 유전자들은 각각 서로 다른 전사효소들의 조절을 받아 발현되는데, 메디에이터가 여러 유전자 ...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과학동아 l2006년 07호
- 1877년 뉴욕의 성 요한 교회 포스터에는 특이한 일요 강좌 소개가 실렸다. ‘벨 교수가 말하고 노래하는 전화기 시범을 보인다’는 내용이었다. 여기서 ‘벨 교수’는 1876년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었다.당시 벨의 후원자는 그의 장인인 가디너 허바드와 벨이 교수로 있던 보스턴대 ...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과학동아 l2006년 07호
- 분포하지 않는 지층을 가리켜 대결층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 강원도 정선부근 지층에서 연세대 이하영교수가 실루리아기 화석을 발견, 대결층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어떤 일정한 지층에서만 산출돼 그 지층의 지질연대를 나타내주는 화석을 말한다 실제로 이 표준화석을 통해 다른 생물들의 ... ...
- 특집1. 우리 어린 날의 초상과학동아 l2006년 05호
- 지난 설 연휴 SBS에서 ‘전국 동안(童顔) 선발대회’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더니 요즘 신문과 방송마다 ‘동안이 뜨고 있다’며 난리다. 한 기사에서는 이런 동안 열풍을 ‘얼짱과 몸짱의 시대가 가고 동안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해석하기도 했다.그런데 동안이 ‘얼짱’이나 ‘꽃미남’으로 상 ... ...
-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과학동아 l2006년 04호
-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설치할 3대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한다. 이 조합은 연세대와 탐라대 사이의 거리가 480km로 가장 길어 분해능은 지상 최대의 광학망원경보다 약 1000배 뛰어날 전망이다.KVN이 완공되면 일본국립천문대(NAOJ)의 전파망원경(VERA)과 네트워크로 연결돼 공동 운영될 예정이다.KVN 같은 ...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결국 물 순환을 이해하려면 증발산과 유출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연세대 김준 교수팀은 ‘하이드로코리아’(HydroKorea) 연구팀을 만들었다. 한반도의 숲에서 강수량, 증발산, 유출, 지하수 등을 실제로 측정해 물 순환을 이해하려는 것이다.특히 증발산은 눈에 보이지 않아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