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놓고 이와 관련도가 얼마나 되는지 구해 얼굴 전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이상윤 교수는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보완되는 면이 있어 인식능력이 좋아진다”고 말했다.생체인식기술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은 홍채다. 홍채인식은 거의 99%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체결했다. 현재 천문연은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를 서울(
연세대
)과 울산(울산대), 제주(탐라대)에 설치할 계획이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KVN사업 예산이 승인돼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은 한국 천문학 발전과 국가 이미지를 위해서 천만다행한 일이다.KVN과 VERA만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최근 비타민 열풍이 비타민C가 무조건 좋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연세대
식품영양학과 이양자 교수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라이너스 폴링 교수로부터 비타민C ‘신봉론’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폴링 교수는 비타민C가 감기에 효과가 있고 많이 섭취할수록 좋다고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이렇게 다시 만나는군요. 반갑습니다. 암튼 배아 쪽 최근 동향을 좀 알려주시죠.이배아 :
연세대
김동욱 교수팀이 배아줄기세포를 억제성 신경세포나 세로토닌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우울증 동물, 통증이 심한 척수손상 동물에 이식해 치료 효과를 관찰했는데,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해요. 한양대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런 성질을 이용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물질을 설계해내는 연구실이 있다.
연세대
화학과 초분자나노조립체연구단이 화제의 주인공. 연구단이 공들여 설계한 ‘신세대’ 분자들을 만나보자. 모여라 나노분자연구단이 설계하는 분자는 물을 싫어하는 소수성 부분과 물을 좋아하는 친수성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 가상현실클리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정신분열 전문치료 클리닉. 이곳에서는
연세대
김재진 교수와 한양대 김인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가상현실 인성재활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난치병 중 난치병인 정신분열병은 정교한 치료법이 요구된다. 환자의 빠른 사회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천식 증상을 완화한다는 보고가 있었다.왜 기생충에 걸리면 알레르기가 줄어들까.
연세대
의대 신명헌 교수는 “알레르기 반응은 면역 시스템이 특정물질에 대해 지나치게 반응한 것”이라고 말한다. 기생충에 감염되면 면역 시스템이 기생충을 공격하느라 에너지가 줄어들어 알레르기도 함께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사진의 느낌을 좌우하는 형태, 깊이, 움직임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은 과연 어떤 것일까.
연세대
와 충북대 연구팀이 197명에게 시각적인 구성요소가 뚜렷이 차이 나는 사진 180장을 보여주고 감성 반응을 측정했다.감성 반응 조사 결과 1장당 평균 60개의 형용사 어휘가 추출됐으며 이를 다시 분류해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용량을 늘리면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자리 잡았다.1990년대 초부터 가속이 붙었다.
연세대
기계공학과 박영필 교수는 “거대자기저항헤드가 개발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DD에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헤드’가 있다. 레코드판 위를 움직이는 전축 바늘과 비슷하다. 손바닥만한 디스크 위에 더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골라 먹듯 잊을 수 있다. 심각한 갈등 관계에 있는 사람을 잊으려는 일종의 방어 기제다.
연세대
김재진 교수는 “심한 스트레스가 반복되면 드물게도 밤에 꿈을 꾸면서 기억상실증에 걸릴 수도 있다”며 “꿈 속에서 스트레스를 피하려는 무의식적인 정신활동이 매우 활발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