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펼쳐질 예정이다.●학술연구 부문김빛내리(38)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김정한(45)
연세대
수학과 교수, 신성철(55)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교수, 이화섭(6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초빙연구위원, 최진호(59) 이화여대 나노과학부 교수●산업 부문민계식(65) 현대중공업 부회장, 이희국(55) ... ...
펄서 발견자, 과학전도사로 거듭나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멘토링 프로그램’(WISE)과 관련된 회의에 참석하러 방한해 한국과학영재학교,
연세대
, 이화여대, 서울대 등에서 강연한 그는 올해 4월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로 임명됐다.“천체물리학(천문학)은 현대물리학 중에서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학문입니다. 펄서는 발견된지 40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활발히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프리컨디셔닝을 받아 심장근육이 보호된 효과가 난다. 일종의 ‘반작용’을 응용한 것.
연세대
의대 김동구 교수는 “프리컨디셔닝은 지난 20년간 심혈관 분야에서 최고의 발견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심혈관 질환은 재발할 경우 사망할 위험이 더욱 높다. 따라서 심혈관 ... ...
'캐리비안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배에서는 물이 귀하기 때문에 양치질까지 하는 ‘호사’를 누릴 수 없는 탓이다.
연세대
치대 구강생물학교실 정한성 교수는 “항해하는 동안 해적들은 육포나 견과류처럼 딱딱한 건조식품을 많이 먹었을 테고 이는 치아나 잇몸에 염증이 생기게 한다”며 “입속 세균에서 나오는 독소가 심장 ... ...
초록색 제국의 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가진 작가적 마인드로 NHN의 신화를 통찰력 있게 취재해왔다. 나를 바꾼 과학책_조용훈
연세대
경영학과 4년 feedquaker@hotmail.com 통섭 에드워드 윌슨 지음 최재천 옮김 |사이언스북스 558쪽 |2만5000원고등학교 시절 배워야 할 과목이 뭐가 그리 많은지 사물함이 없던 나에게 책가방은 언제나 무거운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대항‘팀워크’는 비단 축구에서만 중요한 건 아니다. 게놈기능제어연구단을 이끄는
연세대
생화학과 김영준 교수는 “최근에 발표된 게놈 연구들은 게놈 간 ‘팀워크’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예전에는 게놈 하나하나의 기능을 규명하는데 힘을 기울였지만 최근에는 ... ...
대한민국 짊어질 '젊은 과학자'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무엇일까.지난해 서울 진명여고 3학년생이던 윤도예(서울대 의예과 1학년) 양과 백선희(
연세대
공학계열 1학년) 양의 고민은 여기서 출발했다. 두 학생은 곧 계피가 초파리를 없애는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책에서 찾아냈다. 실제로 복숭아 위에 계피가루를 뿌린 결과 초파리가 현저히 줄어들다 결국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졸업198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입사1990~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1991
연세대
경제학 석사 (자원경제)1997 인하대 자원공학 박사2006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1시간의 행복 좇아 평생을 바치는 수학자 '최영주'그녀의 H는 열정 Her ‘H’ is heart“어려운 수학문제를 풀 때면 누구도 가까이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유체의 부피가 커지는 현상으로 물은 온도가 1℃ 올라가 면 부피가 0.01% 정도 팽창한다.
연세대
대기과학과 노의근 교수는“바다는 대륙 으로 막혀있기 때문에 열팽창이 일어나면 고스란히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진다”며 “바닷물의 깊이를 4000m라고 했을 때 수온이 1℃만 올라가도 해수면이 40cm 높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불구속 입건되기도 했다.2010년의 훔쳐보기과연 미래에는 훔쳐보기가 어떻게 진화할까?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훔쳐보기는 본성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며 “다만 훔쳐보는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점점 발전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경희사이버대 사이버NGO학과 민경배 교수도 ... ...
이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