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여기저기 발톱으로 긁어놓는 고양이 어떡하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빠르게 물건을 뜯는 듯 긁는 행동을 합니다. 스크래처에 페로몬 옮기고, 6개월 마다 교체정상적인 행동이라고는 하지만 고양이가 가구나 커튼을 긁는데 이를 그냥 내버려둘 수는 없습니다. 스크래처만 긁을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떤 재질의 물건을 주로 긁는지 관찰한 뒤, 그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TMA-12호가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발사센터에서 힘차게 날아올랐다. 588초 뒤 소유스 호는 정상궤도에 진입했다. 이 씨는 지상에서 약 300㎞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11일간 생활하며 초파리 생장, 신체 생리적 변화 계측 등 18가지 임무를 완수하고 귀환했다. 정부는 이 씨에게 ‘한국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그리고 무균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쪽에는 비만 쥐의 장내미생물을, 다른 쪽에는 정상 쥐의 장내미생물을 주입했습니다. 실험 시작 당시 두 그룹에서 쥐의 체지방량과 초기 체중은 동일했고, 사료 섭취량도 동일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2주 뒤 비만 쥐의 장내미생물을 주입한 그룹에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일어납니다. 언뜻 생각하면 피부에서는 뼈를 만들어내지 않으니, Sox9 유전자를 제거해도 정상 배아처럼 발달할 것 같죠. 그러나 이렇게 태어난 쥐는 몸에 털이 하나도 없습니다. 털은 피부에 있는 모공에서 만들어 지는데, Sox9 유전자가 모공 발달에도 꼭 필요한 유전자이기 때문입니다(아래 사진) ... ...
- [과학뉴스] UNIST AI 컬링, ‘디지털 컬링 대회’ 우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용해 AI가 스스로 이기는 전략을 세우도록 했다. 커널 회귀기법은 현재까지 최정상 AI인 ‘알파고 제로’에 사용됐는데, 연속 공간을 효과적으로 탐색해 최소한의 정보로 최적의 전략을 찾아내는 기술이다.연구팀은 스톤 위치와 투구 거리 등의 정보를 담은 투구 데이터 16만 건을 컬링 AI에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동안 끊임없이 새로운 물질이 창조돼 우주의 평균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정상 우주론’을 주장했다. 그러던 1965년 마이크로파 배경복사가 발견됐다. 마이크로파 배경복사는 우주가 과거에 뜨겁고 조밀한 단계가 있었다는 증거였다. 호킹은 우주가 수축하는 단계가 있었고, 그러다 어떤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권 문제 사람들은 자신과 모습이 다르거나 삶의 방식 또는 사고방식이 다르면 이를 비정상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등장한 것이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다. 주로 장애인, 이주노동자, 성소수자들이 사회적 소수자에 포함되는데, 단순히 수의 적음에 따른 문제가 아니라 편견과 차별의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호킹이 대학원에 있던 시절은 우주가 팽창하지않고 항상 밀도가 일정했다는 ‘정상 우주론’과 빅뱅이론이 대립하던 시기예요. 그런데 1965년경, 우주배경복사가 발견되면서 빅뱅이론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어요. 1940년대 후반 러시아 출신의 미국 천문학자 조지 가모프가 빅뱅이론이 맞다면 ...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치는 유전자나, 종 특이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는 유전자 변이의 폭이 작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호흡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유전자에 문제가 생긴 개체는 생존할 수 없다. 따라서 살아남은 개체들의 유전자 중 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는 큰 변이가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호일을 원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례다. 프레드 호일은 ‘정상 우주론’을 주장한 학자고, 알다시피 현재 대부분의 우주론 학자들은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학자에게 행운은 알맞은 지도교수를 택하는 것으로부터 찾아온다. 나는 그가 이런 우연한 행운을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