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생각하는 생물학적인 성에 대한 인식을 바꿔 버리는 연구가 여러 편 발표됐습니다. 정상적으로 성장한 암컷 쥐에서 여성 결정 유전자 중 하나를 지웠더니 난소 세포가 고환 세포로 변해버린 연구 결과가 대표적입니다.doi: 10.1016/j.cell.2009.11.021 또 그 반대로 다 자란 수컷 쥐의 남성 결정 유전자 중 ... ...
- Part 2.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시작됐다?한창 논란이 진행되던 시기에 호킹 박사는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고 있었어요. 정상 우주론에서 제시한 이론을 호킹 박사가 직접 계산해 본 결과, 모순되는 점들을 발견했거든요. 1966년, 호킹 박사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박사학위 논문을 썼답니다. 호킹 ... ...
- [과학뉴스] 말라리아 원충의 ‘방패’ 깨는 백신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번에 개발한 백신을 어린이들에게 접종하면 말라리아에 감염되더라도 기억T세포가 정상 작동해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했다.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3일자에 실렸다.doi:10.1038/s41467-018-05041- ...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연소시험 이후 발사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세밀하게 점검한 결과 발사체 상태도 정상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7월 말까지 엔진, 추진 공급계, 전자탑재장치, 열제어화재안전계 등 각 시스템을 최종 점검하고 분석해 시험발사에 대비할 계획이다. 10월 시험발사 앞두고 조립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주변에는 혈관도 새로 자라났다. 강교수는 “3D 프린팅한 귀 형상이 생체 내에서 살아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지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기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일정한 공간에 규칙을 가지고 배열되며 이들의 모양새는 장기가 제 기능을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런 의미에서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4월 27일 서울 동대문구에 있는 고등과학원(KIAS) 대강당에서 열렸다.판문점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바로 그 날이었다.인터뷰를 위해 강연 3시간 전 하 교수를 고등과학원 내 그의 연구실에서 만났다. 캐리어를 끌고 나타난 하 교수는 “대중 강연인 만큼 재미있는 강연을 준비했다”고 예고했다.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투명도가 90%인 이 센서는 얇은 비닐처럼 유연해 지름이 3mm인 막대에 감긴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최근에는 피부와 유사한 물성에 전기적 특성까지 높인 전자피부가 나오고 있다. 한 예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팀이 올해 3월 개발한, 카멜레온처럼 0.5초 만에 색이 변하는 소자가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상태다. 국유단은 2016년 4월 신원이 확인된 미군 2위를 미국으로 봉환했다. 4·27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이 경협 국면에 들어서며, 유해 발굴에 박차를 가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2007년 11월 2차 국방장관회담에서 남북은 유해송환에 합의했지만, 한국전쟁 이후 남북한의 유해 상호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목 받기 시작했어요. 당시 ‘우주는 늘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하지 않는다’는 ‘정상 우주론’이 우세했는데, 호킹 박사가 ‘우주는 한 점에서 폭발해 팽창한다’는 ‘빅뱅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거예요. 이후 호킹 박사는 블랙홀 연구에 더 집중했어요. 블랙홀을 관찰한 적이 없었던 ... ...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활동을 유지했다. 인공세포는 향후 세포 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대사활동 중에서 비정상적인 대사의 원인을 밝히는 것은 물론, 기능이 저하된 세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 교수는 “살아있는 생명체에 가장 근접한 인공세포를 제작한 것”이라며 “스스로 외부환경에 적응하고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