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상"(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prosopagnosia)’을 앓을 수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가 안면실인증으로 대인관계 기피 등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뇌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얼굴 인식 기능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며, 이런 연구는 우리 뇌의 신비로운 기능을 한층 깊게 이해하는 데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마저도 한 달 후에는 포기한 모양이었다. 시간이 그쯤 흘렀을 무렵에는 내 비정상적인 인기도 어느정도 안정되어 있었다. 인터뷰나 칼럼 의뢰도 그렇게까지 몰려오지 않았고, 질문 메일의 수도 확연히 줄어들었다. 아쉽지 않은 건 아니었지만 그보다는 지옥의 출구가 보인다는 안도감이 더 컸다. ... ...
- [과학뉴스] 귓불에 대각선 주름 있으면 치매 위험 높아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환자 471명을 조사한 결과 치매 환자의 60%인 279명에서 대각선 귓불 주름을 발견했다. 또 정상인보다 치매 환자들에게서 2배가량 높은 빈도로 귓불 주름이 나타났다.특히 치매로 인지장애가 나타난 환자들 중에서도 뇌혈관의 퇴행성 변성이 중증 이상이면서 뇌 조직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찌꺼기가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문제가 있다. 설명할 수 없는 지점에서 우주가 출발했다는 빅뱅 우주론의 결론은 정상상태 우주론 지지자들에게는 좋은 먹잇감이었다. 그럼 호킹이 이 문제까지 해결했을까. 김 교수는 “이 문제는 아직까지도 빅뱅 우주론이 풀지 못하는 숙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호킹은 수학자 로저 펜로즈가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한 만성염증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예컨대 HIV에 감염되면 혈액 내 면역수치를 정상으로 유지해도 장에 있는 면역세포는 파괴될 수 있다. 장 점막이 약해지면서 장내 나쁜 세균이 혈액으로 침투하고, 만성염증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동맥경화 같은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김신우 경북대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기지 못하게 돌연변이를 만들었거든요.우선 ‘콜히친’이라는 약물을 처리한 수박과 정상 수박을 교배시켜요. 그러면 염색체 수에 이상이 있는 자식 세대 수박이 만들어지지요. 일종의 돌연변이인 이 수박은 열매 안에서 씨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씨 없는 수박’이 된답니다. 우리나라엔 이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카드뮴(Cd), 인듐(In), 붕소(B) 등으로 만들어진 제어봉은 연쇄반응의 속도를 제어한다.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원자로에서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중성자 수와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고 죽어가는 중성자 수가 같다. 이 상태를 ‘임계’라고 하며, 증배계수(k)가 1이라고 표현한다. k가 1보다 큰, 다시 말해 ...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플라스틱이 침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에 노출된 알은 10~15% 정도만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고, 83%는 부화되지 못하고 죽었다. 안 교수는 “향후 플라스틱의 위해성 평가와 적절한 관리 방안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98-017-12299-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것을 사람이 이해하지 못하고 가까이 오면 그 다음엔 으르렁거린다. 으르렁거림은 정상적인 의사 표현이다. 사람의 말로 변환하면 ‘두려우니 다가오지 마세요. 멀리 가세요’ 정도 될까. 문제는 그 다음부터다. 그럼에도 두려운 대상이 점점 가까이 다가오면 개는 더욱 강력한 의사 표시로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전에 일단 논문부터 발표하고 보자는 경우들이 이 성공률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정상적인 연구 문화는 논문 수와 같은 정량적인 평가에 치중하는 R&D 시스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 내용을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독창성과 우수성 등 연구의 질적인 측면을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