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통
수송
소통
이법
공전
운전
시행
d라이브러리
"
운행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무엇보다 1회충전으로 달릴 수 있는 거리가 짧고 속도도 느린 편이어서 아직 장거리 고속
운행
에는 부적합하다.아무튼 앞으로 축전지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량되고 축전지의 크기를 현재보다 훨씬 줄일 수 있게 된다면, 또 충전소가 전국적으로 충분히 세워진다면 틀림없이 전기자동차가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벼운 것이 좋은' 까닭은 비행기나 로켓을 쳐다 보면 금세 이해할 수 있다. 비행기
운행
경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에너지 비용을 아끼자면 동체의 중량을 가급적 줄여야 하는데 그동안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들이 그런 역할을 담당해 왔다.자동차의 경량화작전에도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개통시기가 지난 6월. 따라서
운행
경험에 있어서는 신칸센이나 TGV에 미치지 못한다. 시험
운행
때 문짝이 날라가고 화장실에 문제가 있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하지만 기술적 수준에서는 최고라는데 이의를 다는 사람이 없다. 광통신시스템을 채택했고 자기진단기능이 뛰어나며 터널에서의 소음이나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자동화용의 로봇 시각시스템과 공정제어용 화면표시장치, 자동차 항공기 우주선 등의
운행
표시시스템 등에 응용되고 있다.최근에는 영상매체가 대중의 정보문화전달의 핵심수단으로 등장하면서 더욱 생생하고 사실감있는 고화질의 대형화면에 대한 요구가 절실해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나 워드 ... ...
3 건물배치도 훌륭한 소음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줄이는 데는 운전자가 가속을 하지 않고 등속주행을 하면 다소 고속이라도 저소음의
운행
이 가능하다.전파경로대책으로서는 방음울타리를 치거나 수림대를 조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는 방음울타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그림1-b)와 같이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이 다 주택인 경우는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지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것은 이 소음 때문이다. 미국에서도 프랑스 비행기인 콩코드
운행
을 부분적으로만 허락하고 있다.■로켓 소음우주왕복선이나 인공위성 발사체인 로켓은 제트엔진에서의 제트와 같은 원리로 추진된다. 단지 제트엔진 내부와는 다르게 제트 출구의 속도가 크다. 따라서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또 50년대만 해도 일본 본토의 북단인 아오모리(靑森)와 홋카이도 남단인 하코다테 간을
운행
하는 연락선의 잦은 사고로 많은 인명을 앗아갔기 때문에 터널이 보다 안전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으로 이 사업을 밀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 터널이 완성됐어도 이용률이 신통치 않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30 젱거 호툴 등은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우주 항공기. 우주공간을 마음대로
운행
할 수 있는 우주항공기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70년대 유류파동을 거치면서 가속되기 시작한 신소재의 개발과 추진기관의 혁신 및 컴퓨터와 전자기술의 급속한 진보는 80년대를 항공우주 시대로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잠수함도 있는데 이름대로 수심 6천5백m까지 짐수하는 이 배는 현재 프랑스와 미국에서
운행
중인 그 어떤 잠수함보다도 깊이 내려갈 수 있다.초전도체에 대한 연구도 무척 활발하다. 1986년 IBM의 두 연구원 뮐러와 베트노로츠(이들은 87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가 절대온도 30K에서 초전도성을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4월15일 지구에 무사히 귀환함으로써 우주왕복선 계획은 막이 올랐다. 10년동안 38회를
운행
함으로써 수많은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렸고 약2백명의 우주비행사들을 지구에서 우주로, 다시 우주에서 지구로 귀환시켰다.우주왕복선의 탄생은 '싸고 효율적인' 우주개발을 추구한 결과다. 미국과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