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파악했고, 나선 구조와 생물 구조 사이의 관계도 찾았죠. 무라야마는 톰프슨의 연구 중 특히 식물의 ‘수리적 성장 패턴’에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해바라기로 작품을 만들 때 꽃에 나타나는 피보나치 수열을 썼고, 식물 모양을 정할 때도 함수와 통계를 이용할 수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하거나 회계 보조 업무 일을 하면서 지냈다. 그러던 2013년, 장은 쌍둥이 소수 추측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시하며 마침내 수학자로 세계에 이름을 알린다. 그의 나이는 58세였다. 그리고 하디의 발언을 묵살한 산증인이 됐다. 쌍둥이 소수는 두 수의 차가 2인 소수의 쌍 (p, p+2)를 뜻한다. 이런 쌍둥이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숫자로 나타낸 시작보드를 A, 도착보드를 B라고 합시다. 시작보드를 뒤집는 건 M1~M9 중 일부를 반복해서 더한다는 거예요. 행렬의 상수배를 이용하면 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만약 시작보드(A)를 첫 번째 모양(M1)에 맞춰 c1번 뒤집었으면 A+c1M1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결국 시작보드를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찾기 위해 40일 이상 매달렸다. 배수로 안의 기상상태와 동물 사체의 변화를 집중적으로 관찰했고,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을 거쳤다. 수사팀이 그린 그래프와 표만 수백 개가 넘는다. 그 결과, 수사팀은 2009년 2월 1일 새벽, 피해자가 실종된 직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의미다. 또, 마지막에 커플이 되는 것이 목적인 프로그램도 아니다. 입주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한 달이라는 시간 동안 ‘무한 썸’ 을 타고, 자신의 마음을 잘 들여다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이 생겨도, 여러 가지 조건과 자기방어가 그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해한다.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계속 보시려면? Intro. 첨단 과학의 전쟁터, 게임[Infographic] 게임 엔진의 진화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명공학과 교수는 “보기 그럴듯한 아이디어보다는 기발하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중요하게 여기고, 완성도보다는 가능성을 본다”며 “전문가 흉내를 내기 보다는 자신의 역량 안에서 최선을 다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10-12 mol) 단위로 측정한다. 그 외에 혈액 속에 작은 단백질이 몇 개가 들어 있는지, 공기 중에 미세먼지 입자가 몇 개나 떠다니는지 수치를 매길 때도 몰 단위의 측정이 필수다. 이 책임연구원은 “아보가드로 상수로 새로운 표준이 정해진 만큼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더 많다”고 말했다 ...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양치질 횟수, 간식을 먹는 횟수 등)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오 교수는 “분석한 미생물 중에는 충치 유발균으로 알려지지 않은 흔한 세균들도 있었다”며 “어릴 때 구강 미생물의 균형을 잘 잡으면 향후 충치가 생길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어릴 때 구강 미생물의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주 오래 전 인간은 태양이 떠 있는 시간에만 야외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토머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고 뒤이어 형광등이 개발되면서, 인류는 낮과 밤 ... 있다. 사파이어 나노멤브레인을 설계해, 고효율 편광 LED와 마이크로 LED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
이전4634644654664674684694704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