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➎ 황농문 재료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응용 쪽을 하고 싶다면 재료공학부가 맞아요. 공대 공통으로 필요한 소양도 있어요.
바로
‘도전정신’이에요. 도전정신이 있는 학생들이 성과가 좋아요. 모르는 문제를 해답을 보지 않고 풀면 기를 수 있어요. 계속 도전해서 이겨내는 거죠. 그러면 머리가 좋아지고 사고력이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기록한 것과 같다. 이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여기에는 조금 복잡한 내용이 숨어 있다.
바로
암흑물질과 물질 사이의 줄다리기와, 그로 인해 울려 퍼진 초기 우주의 ‘메아리’다.암흑물질은 오직 중력과만 상호작용하는 물질로, 아직은 가상의 물질이지만 대부분의 물리학자와 천문학자들이 ...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키 큰 남자’랜다. 그런데 내 키는 반올림해 170cm.백설공주를 짝사랑만 했던 난쟁이가
바로
내 처지다. 틈만 나면 농구를 하고 밤 10시면 침대로 달려가지만 내 성장판은 대답이 없다.설상가상으로 키는 유전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데….이번 생에 나라를 구해 다음 생에 키 큰 부모를 만나지 않는 한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물감으로 그림을 그린다. 그림에서 은색으로 빛나는 부분이
바로
붓으로 그린 전선이다. 물감으로 전기회로를 만드는 셈이다.이 방식은 교육적 효과도 좋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한 새뮤엘 제이코비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아이들의 상상력에 나도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헛수고가 된다. 이렇게 해커로부터 정보를 보호해 주는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수학을 이용한 암호체계다.현재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암호체계는 MIT대 수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 아디 샤미르, 레오나르드 아들만이 1977년에 개발한 ‘RSA’ 암호다. RSA 암호는 ‘비대칭 암호 방식’의 ... ...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하는 걸까?권영남 : 위상 최적 설계와 위상수학이 관련이 있나요?김윤영 교수 : 맞아요.
바로
위상 최적 설계에서‘ 위상’이 위상수학에서 따온 말이에요. 위상수학에는‘ 연속 성질’이라는 것이 있어요. 어떤 물체를 자르거나 붙이지 않고, 늘리거나 휘게 해서 모양을 만들 수 있다면 수학적 ... ...
슬럼프를 극복해보자!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점을 이용해 이런 방법을 써보는 것입니다. 공부를 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 때
바로
다시 공부를 해도 좋고, 원래 계획대로 그날 하루는 통으로 놀아도 좋습니다. 대신 공부하고 싶다는 느낌이 든 그 순간을 잊지 마세요. 하지만 이것은 정말 극약 처방입니다. 공부하고 싶다는 마음이 다시 생기지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하얀 색의 자동차가 꼭대기에 레이더를 달고 구글 캠퍼스를 계속 돌아다니는 모습이다.
바로
구글 무인자동차다.구글에서는 ‘셀프드라이빙카(Self Driving Car)’라고 부른다. 시험 주행에서 무려 48만 km를 무사고로 주행했고 공식 번호판도 받았다. (직접 탑승해 보려 했으나 테스트 중이기 때문에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생각했다. 러시아 과학자인 미하일 차일라키얀이 1930년에 플로리겐이라고 붙인 물질이
바로
이 호르몬이다. 플로리겐은 70년이나 비밀에 쌓여 있다가 2007년 마침내 정체가 드러난다. 잡힐 듯 안 잡히는 플로리겐플로리겐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것은 단일식물(낮이 짧아지면 꽃이 피는 식물)의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하나의 상태로 결정된다(물리학자들은 “파동함수가 붕괴한다”고 표현한다). 이것이
바로
관찰자 효과다. 노에틱 사이언스 연구자들은 고양이를 살거나 죽은 한 가지 상태로 결정하는 원인이 관찰자의 의도에 있다고 설명한다. 사람이 관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면 고양이는 죽었으면서 ... ...
이전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