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숭례문 되살린 3D 레이저 스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석불은 복원되지 못했으나 2008년 전소한 숭례문은 되살아났다. 그 차이는 무엇일까. 바로 3D스캔 데이터의 유무다. 숭례문은 2002년 정밀한 3D스캔으로 입체 도면을 얻은 반면, 바미안 석불은 파괴되기 직전까지 3D스캔 계획이 없었다. 그 결과, 숭례문은 0.5mm급 정밀도(68쪽 십일면관음보살상 참조)의 3D ... ...
- 새로운 AI 바이러스, 대륙을 떨게 하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위협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또 하나 늘었다. 바로 신종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H7N9이다. 첫 환자가 발생한 2003년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 622명의 감염 환자 중 371명의 목숨을 앗아간 AI 바이러스 H5N1과는 다른 바이러스다.3월 31일 중국 보건당국이 자국민 3명이 이 신종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발견됐습니다. 화석은 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 뼈와 아래턱 뼈 두 점이었습니다. 이게 바로 지난해 8월 네이처 표지에 실린 화석입니다. 네이처에는 연구 논문도 함께 실렸습니다. 논문의 요지는 간단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화석이 리처드 리키가 1970년대에 발견했던 화석과 아주 흡사하다는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너에 대한 형 집행은 내일 정오에, 나머지 로봇에 대해서는 지금 이 시간 이후로 바로 시행한다.”로봇 基D-58#아И7의 공개 처형이 시작될 때까지 여덟 시간 동안 지구 전역과 달, 화성, 소행성대에서 基D-5 시리즈는 차례로 회수되었으며, 혹은 사용자가 자체 폐기했습니다. 신경질적인 반응이 없었던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많다. 그런데 이들이 모두 균일하다는 것은 우주의 가장 큰 우연 아닐까. 급팽창 이론은 바로 이런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됐다. 우주는 균질한 초기에 급속도로 커졌기 때문에 현재 처음의 균일한 상태를 간직하더라도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게 된 것이다.태초에 지문이 있었다.그런데 더 중요한 ... ...
-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KIST)에서 연구하고 있대. 이 소식을 듣고 ‘어린이과학동아’가 가만있을 수 없지. 바로 출동~.아바타 로봇이라고?우와, 귀엽게 생긴 로봇이다. 그런데 이 로봇이 어떻게 사람을 대신하지…?영화 ‘아바타’를 봤니? 캡슐에 들어간 사람이 생각하는 대로 아바타가 움직이는 영화 말이야. 아바타처럼 ...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건축의 성지로 불리며, 여전히 세계 각국의 건축 애호가들이 몰려들고 있다. 그 비밀은 바로 기하학이 아닐까. 라 투레트 수도원라 투레트 수도원의 복도는 시간에 따라 햇빛의 방향과 명암이 수시로 바뀐다. 촘촘히 설계돼 있는 창살과,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복도와 천장 때문이다. 복도 바닥은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않은 일로’ 나누면, 계획 끝! 바로 스프를 끓을 수 있어요. 형님, 준비 되셨죠?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잡 스케줄링 문제야채 스프를 끓이기 위해 꼭 해야 할 10가지 일은 다음과 같다.➊ 불 피우기(8분) ➋ 야채 씻기(2분) ➌ 야채 썰기(3분) ➍ 야채 익히기(7분) ➎ 간단한 소스 만들기(7분) ➏ 식사 장소 ... ...
- [동아리탐방] 감출 수 없는 수학 내공!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담긴 메일에 지난 해 내공수학의 활동을 담은 를 함께 첨부했다. 그 결과 바로 그 달에 고등과학원 교수님들과 내공수학의 만남이 성사됐다.내공수학 학생들은 고등과학원 교수님들과 만나 수학이란 무엇인지, 수학 연구자는 어떤 일을 하는지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며 진로에 ...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대칭 개념으로 물리학적 불변량의 존재를 설명해 물리학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그녀는 바로 에미 뇌터다. 늦게 출발해 꽃피운 재능뇌터의 수학적 재능은 일찍 발현되지 못했다. 실제로 그녀가 이룬 최고의 업적들은 모두 40세 이후에 이룬 것이며, 그녀의 학문적 절정기는 50세 때였다. 수학 ... ...
이전4604614624634644654664674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