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즐탐정 썰렁홈즈]스팸 문자의 달인, 머완는지 궁구마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찾아서 문자로 보내라.’미션2 뭔가 다른 추억의 사진‘문자 잘 받았다. 정답이다. 그럼
바로
두 번째 문제. 이 사진 기억하고 있겠지?그런데 두 사진이 서로 조금 다르다.’휴대전화로 사진이 도착했다. 열어 보니 썰렁홈즈가 옛날에 다무러와 찍은 사진이 아닌가. 그런데 똑같은 사진이 두 장 있다.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의미가 없어 보이는 숫자에서도 수학적인 의미를 찾는다. 인도의 수학자 라마누잔이
바로
그런 수학자 중 한 사람이다. 라마누잔과 숫자에 관련해서 재밌는 일화가 한 가지 전해진다.라마누잔이 아파서 병석에 누워있을 때였다. 절친이었던 수학자 하디는 라마누잔을 찾아와 ‘자신이 타고 온 ... ...
수학 동아리계의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경화여고에서 벚꽃만큼이나 미소가 아름다운 소녀들을 만났다.
바로
경화여고를 대표하는 수학동아리 ‘큐브클래스’ 학생들이다. 어떤 과목보다 수학을 좋아한다는 소녀들은 한 달에 두 번씩 모여 ‘수학 토론’을 즐기고, ‘수학 UCC 만들기’와 ‘교내 수학 행사 주최’로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이루어진 필수 아미노산으로 반드시 음식물을 통해서만 섭취할 수 있다.안나의 비밀은
바로
‘굿 잠’이었어. 10시부터 푹 자는 습관이 안나를 ‘훈녀’로 만들었구나. 키도 크고 날씬하고 튼튼하며 성격도 밝은 안나는 공부도 잘하지. 나도 안나 같은 ‘훈남훈녀’가 될 수 있을까? 지금 빨리 가서 ...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때 상대방을 쉽게 설득할 수 있거든요.그렇다면 어떤 자료가 객관적인 근거가 될까요?
바로
어떤 자료를 숫자로 나타낸 통계가 대표적인 예랍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철수의 키가 크다고 말했다고 해 봐요. 크다는 건 주관적인 생각으로, 철수의 키가 실제로 큰지 작은지 정확히 알 수 없어요. 그런데 ... ...
6화 납치된 의사 선생님을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수학 가디언즈라는 사실을 알고는 오히려 잘 됐다고 생각했지.”목소리의 주인공은
바로
사라진 의사 선생님이었다. 폴은 의사 선생님을 보고는 반색하며 달려갔다.“무사하셨군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이에요?”반가운 표정의 폴과 달리, 의사 선생님은 어쩐지 무거운 얼굴로 폴을 맞았다.“나는 ... ...
스마트기기 터치 대신 손짓으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주인공 제다이는 멀리서 손끝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사물을 움직일 수 있다.
바로
초능력 ‘포스’ 덕분이다. 그런데 현실에서도 포스를 쓸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다. 아래팔에 착용하는 암밴드(ARM BAND) ‘MYO’ 하나면 터치 없이도 아이패드를 조작하고 화끈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손과 팔을 ... ...
INTERVIEW 롤프-디터 호이어 CERN 소장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어렵지 않냐고요? 어렵지 않습니다. CERN의 과학자에게는 단 하나의 언어만 존재하거든요.
바로
‘과학’이라는 언어입니다. 과학 아래에서는 모두가 협력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세계적인 실험물리학자로서, 호이어 소장에게 물리학과 실험이란 어떤 의미일까.“제게 물리학은 ‘좋아서 하는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정보를 종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인류의 ‘무기’가 나타납니다.
바로
사회적 협동입니다. 속해 있는 집단의 크기가 커지면서 집단의 구성원에 대한 정보와, 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두뇌는 이런 다채로운 정보를 저장해 두고 상황에 따라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판)이 움직이며 벌어지는 부분에서는 맨틀 물질이 흘러 나와 굳어 새로운 판을 만든다.
바로
‘해령’이다. 흔히 생각하는 화산 활동처럼 거대하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지구가 살아있음을 알리는 중요한 활동이다. 백두산 발달 시나리오약 2840만 년 전, 일본이 한반도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았다면 ... ...
이전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4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