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황금비 발견의 영예가 걸렸다! 쿠푸왕 피라미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이런 글을 남겼는지 지금에 와서는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믿으면 안 된다는 측과 잘못된 내용이 있지만 측정 결과가 황금비라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믿어도 된다는 측이지요.이게 중요한 건 황금비냐 아니냐에 따라 누가 처음 황금비를 알았는지도 바뀌기 때문입니다. 고대 이집트인이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고개를 갸웃거리는 노인도, 박사님 박사님 어쩌고 하면서 눈에 뻔히 보이는 아줌마 잘못을 모르는 건지, 알면서도 뭐라고 못하는 건지 알 수 없어 답답하고 짜증이 났다. 그러다보니 작업에서도 실수가 많아졌고, 그게 내 탓이 아니라는 걸 뻔히 아니까 더 짜증이 났다. 나중에는 노인도 나를 보면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효소가 나서서 원래대로 뜯어 고친다. 하지만 RNA바이러스에 있는 이 효소에는 잘못 붙은 염기를 교정하는 기능이 없다. 그래서 RNA가 복제될 때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그 모습대로 새로운 RNA가 탄생한다.결국 어미 바이러스와 새끼 바이러스가 유전적으로 서로 다르고, 숙주를 여러 번 거칠수록 더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백신을 맞았기 때문”이라며 “백신은 2~8°C의 저온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운반 단계에서 잘못취급해 효력을 잃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연구팀은 동남아국가 등에서 주요 운송 수단으로 많이 사용하는 오토바이로 백신을 이동시킬 방법을 고안했다. 오토바이의 동력으로 소형 냉장고를 돌려 이동 ... ...
- 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신전과 앵무조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오해한 탓에 수많은 역사가와 예술평론가가 황금비에 쉽게 현혹되고 말았습니다. 한 번 잘못 알려진 황금비 작품은 그게 사실인 마냥 계속 퍼졌습니다. 수백 년에 걸쳐 진행된 황금비 사기극, 그 전말을 밝힙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황금비의 대명사는 파르테논 신전과 앵무조개?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소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황금비 열풍의 범인은 파촐리황금비를 이용했다고 잘못 알려진 건 다 빈치 작품뿐만이 아닙니다. 수많은 예술품이 황금비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지요. 대표적인 예가 밀로의 비너스, 조르주 쇠라의 점묘화, 피트 몬드리안의 기하학적인 작품입니다. 그렇다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 도렘이 피안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열리는 장소로 찾아오세요. 편지 속 문양을 잘 보고 갈림길을 선택하길 바랍니다. 잘못 선택하면 늪지대에 빠질 거예요!” 썰렁홈즈만을 위한 꿈의 무대?!썰렁홈즈가 학교로 찾아가자 넓은 운동장에 무대가 마련되어 있었다.“썰렁홈즈님, 당신은 저의 음악을 들을 자격이 충분해요. 당신만을 위한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생각나지 않았다. 두 편집장은 당시의 답답함을 이렇게 표현했다. 처음 정한 목표가 잘못됐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일은 다반사다. 포기하지 않고 슬기롭게 목표를 수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부원들은 토론 끝에 연구 방향을 틀었다. 자신들의 작곡법으로 탄생한 곡이 어떤 확률 분포를 이루는지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떻게 해야 돼지고기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지 진지하게 설명했다. 그제야 회사를 잘못 찾아온 건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낄 수 있었다.정육각은 신선한 돼지고기를 우리 식탁에 전달해 주는 온라인 정육점이다. 주문 즉시 생산해서 포장해 보내주는 서비스라 이해하면 된다. 보통 우리가 사먹는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동물의 행동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 그리고 종의 이득을 내세우는 집단 선택이 왜 잘못되었는가를 배웠다.이를테면, 1960년대에 몇몇 인류학자들은 전쟁이 인구 폭발을 억제해 인류에게 이득을 주기 위한 수단이라고 제안했다. “만약 자연선택이 정말로 그렇게 집단 수준에서 작동한다면, 나는 ... ...
이전4142434445464748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