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을 깨달았어요.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의미하는데, 명도의 조합이 잘못된 그림은 코헨이 보기에 아름답지 않았지요. 코헨은 명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그림에 사용하는 색의 개수에 따라 어울리는 명도 차이를 정리해 알고리즘으로 만들었어요. 그 결과, 아론은 적절한 색을 칠할 수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모르는데 그곳에서 살 수 있을까요?”선장은 무표정했다. 뎀베는 불안해졌다. 뭔가 잘못 짚었나?“다시 말씀드리죠, 상관없습니다.”“네?”“어차피 우린 어딘가에 식민지를 지으려고 떠난 게 아니었으니까요.”“그럼 뭐를 위해서 여기까지 오고 그 기나긴 세월을 여행한 거죠?”“설마 우리 쪽에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친구도, 목욕하는 사람들의 줄도 찾지 못했어. 지도를 준 목욕탕 주인을 찾아가 지도가 잘못된 것이 아닌지 물었는데, 그제야 친구를 찾을 수 없었던 이유를 알 수 있었어.쌍곡 평면의 지도에서는 ➊원점을 지나는 지름의 일부 또는 ➋양 끝이 원주와 90°로 만나는 곡선이 직선이야. 직선 바깥의 한 ... ...
- Part 4. 거대 도시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피해가지만, 건물이 숲을 이루면 거대한 산처럼 공기의 흐름을 막아버립니다. 또 건물을 잘못 배치하면 돌풍이 부는 곳이 생기기도 합니다. 빌딩의 벽을 타고 가던 공기는 벽이 끝나는 순간 안쪽으로 휘면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움직이는데, 이때 다른 바람과 합쳐지면 거센 돌풍이 돼요.이런 공기의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무엇인지 정확히 구분해 내야 해요. 그래서 국립생물자원관 박태서 연구사는 기존에 잘못 구분된 종들을 다시 정리하고, 동시에 새로운 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흙을 물레에 돌리면서 모양을 만든 뒤 말려서 단단해진 것이라고 생각했다.완전히 잘못된 생각이었다. 유약을 바르는 소지는 모양을 형성한 뒤 800~900℃의 온도에서 초벌구이를 한 것이었다. 또 유약은 물감이 아니라 물과 각종 광물, 나무와 식물을 태운 재를 넣어만든 혼합물이었다. 무엇을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난자를 만나 태아가 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이 중 하나라도 잘못되면 불임이다. 반대로 말하면, 이 중 하나만 차단하면 피임이 가능하다. 정자들의 가상 레이스를 통해 남성을 대상으로 한 불임과 피임 연구 현황을 알아본다. 1. 정소 ◀ 젠다루사엄친아 씨의 정자가 넘어졌군요. 엄친아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적합도를 낮추는 악의적인 행동에 대한 해밀턴의 분석이 잘못됐다는 것이다. 어디가 잘못됐길래?해밀턴의 이론이 어떻게 이타적 행동의 진화를 설명하는지 잠시 복습하자. 이타적 행동은 그 행동을 하는 당사자의 적합도를 떨어뜨린다. 그러나 일정한 조건만 충족된다면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설 소장은 “최면 의자에 앉아서 흔들리는 시계추를 보면 눈물을 흘린다는, 최면에 대해 잘못 알려져 있는 고정 관념을 깨야한다”면서 “최면은 누구나 겪게 되는 일상 속 체험”이라고 말했다.우리는 말을 하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손을 들어 턱을 괴거나 다리를 꼬기도 한다. 평소 생각 안 나던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태운 캡슐을 우주로 띄우기 위해서 온 갖 장치를 몇 번이고 테스트합니다. 숫자 하나가 잘못되거나 반올림을 너무 앞 자릿수에서 하는 등의 미세한 오류로도 캡슐이 한순간에 폭발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에는 극도의 정밀함이 필요했고, 수학 이론과 계산이 완벽해야 했지요. 수학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