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참 지난 후에 똥과 오줌을 가리키며 개를 혼내는 것은 잘못된 훈련법이지요. 보호자는 잘못된 장소에 배변한 행동을 혼내는 것이지만, 개는 배변 행위 자체에 대한 체벌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이런 경험이 반복되면 개는 똥과 오줌을 오랫동안 참거나 사람이 보지 못하는 장소를 찾아 배변할 수도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등 인터넷에는 테니스의 기본기를 설명하는 자료가 중구난방으로 올라온다”며 “잘못된 자세가 익숙해지면 고치기 어려운 만큼 가장 단순하고 정확한 테니스 초보자를 위한 지침서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물음에 답을 찾기 위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휴대전화의 전원을 껐어요. 휴대 전화에서 나오는 전파가 장비를 방해하면 실험 결과가 잘못 나올 수도 있거든요. 연구실 안에서 김화진 박사님이 기자단 친구들을 맞아 주었어요. “작은 방처럼 생긴 이 장비는 미세먼지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보는 ‘스모그 챔버’예요. 비닐 풍선에 공기를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동식물 유전자에 결합해 DNA의 특정 부위를 자르는 데 사용하는 인공 효소로, 유전자의 잘못된 부분을 제거해 문제를 해결하는 유전자 편집(Genome Editing) 기술을 말한다.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하면 손상된 DNA를 잘라내고 정상 DNA로 갈아 끼울 수 있다. 1, 2, 3세대의 유전자가위가 존재하며, 최근 3세대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진이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당시 과학자들의 메시지는 잘못됐으며, 지진 예측의 불확실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1. The former deputy head of Italy’s Civil Protection Department(person in the picture) and six scientists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내 12개 동물보호소에서 보호자가 양육을 포기한 고양이의 가장 큰 문제 행동이 바로 잘못된 배뇨였습니다. 또 2005년 미국, 캐나다, 호주의 동물행동의학전문클리닉에 내원한 고양이 225마리 중 58%가 배뇨 문제로 병원을 방문했습니다. 화장실이 아닌 곳에 배뇨를 하는 고양이에게는 어떤 문제가 있는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RNA는 DNA로 변신하는 역전사 과정을 거쳐 DNA로 바뀐 뒤 발현된다. 이 과정에서 염기가 잘못 붙으면 돌연변이가 일어나는데, RNA 바이러스는 이를 교정하는 기능이 없어 변이가 특히 잦다. 이 때문에 백신이나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다. 약물을 개발하는 동안 변종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무용지물이 되기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도달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이 시스템은 타인수락율(FAR·타인의 생체정보를 내 것으로 잘못 인식할 확률)이 0.01%, 본인거부율(FRR·생체인식시스템의 오류로 개인을 식별하지 못하는 등 나를 거부할 확률)은 2% 내외로 기존의 지문 인식과 비슷한 수준으로 인증 오류가 낮다. 특히 지문이나 홍채, 얼굴 ... ...
- 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기록을 은행이 적어 놓기 때문에 몰래 돈을 쓸 수는 없습니다. 행여 기록하는 사람이 잘못 기록하거나 기록을 조작할 수도 있죠. 2014년, 아프가니스탄에 사는 여학생 패리사 아흐마디는 난생 처음 자기가 번 돈을 이용해 노트북을 샀어요. 현금이나 통장을 이용하지 않고 가상의 지갑과 돈을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들어와 밤늦게까지 잠들기 어려운 일도 생겼지요. 이렇게 조명을 지나치게 많이 쓰거나 잘못 써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빛 공해’라고 한답니다.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 우리나라는 2위!빛 공해는 전세계적인 문제예요. 지난 해 6월 이탈리아, 독일, 미국, 이스라엘 국제 공동 연구팀은 빛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